[사회] 서울대 교수 382명 "역사교과서 국정화 우려" 성명

중앙일보

입력

서울대 교수 382명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는 서울대 교수모임’은 28일 오전 11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삼익홀에서 기자회결을 열고 ‘다른 생각을 억누르는 나라에는 미래가 없습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역사교육과 유용태 교수와 국사학과 허수 교수 등 서울대 교수 372명과 이태진ㆍ정옥자 전 국사편찬위원장을 비롯한 명예교수 10명이 이름을 올렸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발표 이후 대학 교수의 국정 교과서 반대 및 집필 거부 성명 중에서 가장 큰 규모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정부는 학계ㆍ교육계가 줄지어 반대하고 국민적 우려가 커져감에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발표했다”며 “우리는 학자이자 교육자의 본분을 지키려는 충정에서 정부ㆍ여당이 이 백해무익한 결정을 철회하고 분열과 대립이 아닌 대화와 통합의 길을 택할 것을 간곡한 마음으로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일선 학교에 보급된 교과서가 종북ㆍ좌편향이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를 내세워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국정화 강행의 본질은 교과서 서술 문제나 역사교육 문제가 아니라 집권측 일각의 정치적 고려가 앞선 무리수”라고 주장했다. 이어“이대로 국정화를 시행한다면 다양한 관점을 통해 깊은 성찰의 의미를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사교육은 의미를 잃게 된다”며 “학문과 교육이 정치의 희생양이 돼 헌법이 보장한 자율성ㆍ전문성ㆍ중립성을 침해당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번 성명은 국정화에 일부 교수를 중심으로 초안을 작성한 뒤 2000여명에 달하는 교수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참가 교수를 모은 뒤 이뤄졌다. 앞서 지난달 2일 서울대 국사학과ㆍ동양사학과ㆍ서양사학과ㆍ역사교육과ㆍ고고미술사학과 교수 34명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우려의 뜻을 표명하는 의견서를 황우여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에게 전달했었다. 지난 22일엔 역사학 관련 학과 교수 36명이 ”국정교과서 집필과 관련 업무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