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만족도 평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사진 중앙포토]

한국인 삶의 만족도 평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

'한국인 삶의 만족도'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가 최하위권으로 드러났다.

19일 OECD의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OECD 평균(6.58점)보다 낮았다.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OECD 34개국 중 27위에 해당하는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삶의 만족도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져 15∼29세의 만족도는 6.32점인 반면, 50대 이상은 5.33점으로 1점가량 낮았다. 30∼49세의 만족도 점수는 3개 세대의 중간인 6점이다.

또한 한국 어린이들이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은 하루 48분으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짧았다. 15∼19세에 학교를 다니지 않고 취업도 하지 않고 훈련도 받지 않는 채로 방치된 비율도 9번째로 높았다.

또한, 한국인의 건강 만족도에서도 2013년 35.1점으로 2009년(44.8점)보다 후퇴했다.

한국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만족하는 정도는 OECD 평균(68.8점)보다 20점 이상 낮아 34개국 가운데 꼴찌였다.

밤에 혼자 있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 역시 한국(61점) 순위가 28위로 하위권이었다.

결국 한국인들의 삶은 사회 연계와 건강만족도, 안전 등의 항목에서 만족도가 낮다는 평가로 드러났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
온라인 중앙일보 jstar@joongang.co.kr
'한국인 삶의 만족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