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IS가 좋아" 6개 교육청 중간집계 결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9면

일선 초.중.고교가 교무.학사영역의 업무 처리 방식을 놓고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 학교가 처리방식을 결정하지 못한 채 혼선을 겪고 있다. 이에 비해 처리방식을 결정한 학교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의 전산시스템인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이나 수기(手記)작성 방식의 선택 비율이 높지 않은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9일 부산.충남.강원 등 전국 6개 교육청의 '교무.학사 영역 시스템 선택 결과 중간 집계(16일 현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경우 전체 학교의 40%가 결정을 못 내린 상태며, 결정을 내린 60% 학교 중 90%가 NEIS를 선택했다.

충남의 경우 ▶NEIS 선택 학교가 65%▶CS는 16%▶수기는 19%였으며, 강원도 역시 NEIS 선택 비율이 82%로 CS(17%).수기(1%)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나머지 교육청의 학교들은 결정을 유보하고 있었다.

서울의 경우 무작위로 59개 학교를 뽑아 조사한 결과 결정 유보 학교가 27개로 가장 많았고, NEIS는 26개교, CS는 2개교, 수기는 4개교였다.

하지만 이 같은 집계 결과에 대해 전교조는 "사실과 다르다"며 반발하고 있다.

전교조가 각 지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서울의 경우 2백70개교 중 CS는 90개교, 수기는 80개교가 선택한 반면 NEIS 선택 학교는 40개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학교장이 일방적으로 결정한 내용이 집계된 것"이라며 "교육부가 NEIS가 대세인양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