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부, '한중공조' 위안부기록 등재 "상당히 미래 상황 상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이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관련, 한국 등 관련국과의 공조를 시사한 데 대해 외교부는 13일 “미래에 대한 상황을 상정한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그쪽(중국)에서 아직 검토중인 것이라고 한 사안이고, 결정이 돼서 우리 측과의 협력을 요청한다는 것은 상당히 미래에 대한 상황을 상정한 것”이라며 이처럼 답했다. “우리측 민간 단체들이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일일이 파악하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 정부의 협조요청이 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중국 측에서는 판단을 해도 우리 쪽은 민간 단체에서 판단할 사안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정부의 이같은 신중한 반응은 한국과 중국이 역사 문제로 공조해서 일본에 대항하거나 아베 정부를 공격하는 모양새가 되는 것을 경계하려는 의중으로 해석된다. 특히 최근 워싱턴 조야에서 한국이 중국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중국 경사론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의식한 반응으로 보인다.

여성가족부 산하 재단법인인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피해 당사국과 연대해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를 추진중이다. 앞서 단독으로 기록 등재를 추진했다 실패한 중국 정부는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는 다른 나라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있단 점을 거론하며 다른 국가들의 공동신청을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유네스코의 이런 의견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연구할 것”이라며 한국 등 다른 피해국과의 공조 가능성을 시사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