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메르스를 막아라…초거대 협의체 출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의료전달체계 개편과 감염관리 강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대규모 협의체가 출범했다.

보건복지부는 1일 각계 전문가을 모아 ‘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를 구성하고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에서 제시한 의료관련감염대책의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는 환자단체(환자단체연합), 소비자단체(소비자시민모임), 전문학회(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감염학회·예방의학회·응급의학회), 기관(의료기관평가인증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단체(의사협회·병원협회·치과의사협회·한의사협회·간호협회), 언론(조선일보·파이낸셜뉴스), 보건복지부(보건의료정책관)로 구성됐다. 위원장은 대한의학회 이윤성 회장이 선임됐다.

정진엽 장관은 이 날 열린 협의체 회의에서 "의료관련감염 예방은 의료계, 환자, 시민사회, 정부 모두 힘을 합쳐야만 가능한 일"이라며 "감염예방과 환자안전을 최우선가치로 보건의료체계 및 의료이용문화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직능별 소관과제 세부 실행계획(안) 마련

실질적인 업무는 복지부를 주관부서로 전문기관과 파트너 체제로 진행된다.

복지부를 중심으로 감염관리 인력·관리체계 및 감염병 감시체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며, 의료인 진료환경 개선 과제는 감염관리학회가 맡는다.

감염관리활동 평가 및 보상은 감염관리학회와 함께 인증원, 심평원이, 병원문화 개선은 병원협회, 간호협회, 환자단체, 소비자단체가 각각 맡기로 했다.

또 심평원은 의료기관 시설·다인실 개편을, 감염학회는 전문치료체계 및 정보 공유 분야를, 응급의학회와 예방의학회는 각각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의료전달체계 개선 분야를 수행한다.

각 분야별로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하고, 긴급·단기·중장기 등 3단계로 과제의 추진시기를 나눈다.

특히,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로 인해 관심이 높아진 병원문화 개선, 응급실 감염관리 강화 분야에 대해서는 당장 이달부터 논의가 시작된다.

협의체는 올해 말까지 운영되고, 내년부터는 중장기 과제에 대한 별도의 논의기구가 구성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내년 새로운 논의기구가 구성되더라도, 올해 마련하게 될 과제의 실행상황이나 보완 등은 협의체가 그대로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인기기사]

·“한국 의사에게 치료받고 싶다”…50년 만에 이룬 의료 선진국 [2015/10/01] 
·창원대, 산업의과대학 설립 잰걸음 [2015/09/30] 
·11세 소녀에게 갑상선암이...'오~하느님!' [2015/09/30] 
·심평원 vs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소송전 심화 [2015/09/30] 
·카톡 잘못 썼다가 기소당한 하이트진로 직원 [2015/10/01]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