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들도 뜨거운 공방] "공무원까지 편을 가르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공무원 노사모'냐, '경영혁신팀'이냐."

공직사회 내에 '개혁 주체 세력'이 조직돼야 한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언급을 놓고 네티즌들이 뜨거운 찬반 논란을 벌이고 있다. 청와대와 언론사 홈페이지 등에는 새 정부의 개혁 방식에 대해 극명하게 엇갈린 평가가 게재되고 있다.

"공무원 사이에 감시 조직을 만들겠다는 발상"이라며 盧대통령의 구상을 비판하는 이들은 공무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개혁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민'이란 ID의 네티즌은 "개혁주체 조직에 들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할 것이란 엄포로 들린다"면서 "전두환 정부 때의 3대 부정심리 추방운동이나 노태우 정부 때의 사회정화운동 등과 차이점이 뭐냐"고 반문했다. "'전위대'를 또 만들겠다니 가뜩이나 국민통합이 안되는 마당에 공무원까지 편을 가르겠다는 것"(ID '보통시민')이라거나 "공무원 조직도 사조직처럼 만들겠다는 얘기여서 장관들이 힘을 못쓰는 이유를 알겠다"(ID 'yoonsangki')는 반응도 나왔다.

ID가 'sklee387'인 네티즌은 "유능한 목수는 나무의 결을 따라 대패질을 한다"며 "대팻날을 잘 갈았으면 마구잡이로 해선 안되며 개혁도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로 조용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盧대통령의 구상을 정부개혁에 대한 긍정적 조치로 이해하는 네티즌들은 "병아리는 계란 껍질을 깨고 나와야 세상을 보는 것"이라며 확신을 갖고 꾸준히 추진하기를 당부했다.

ID가 'mitbuerger'인 네티즌은 "행정부의 최고 책임자이자 감독권자인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구상을 공무원 조직에 밝힌 것은 당연하다"고 옹호했다. 'kwchoi'란 ID의 네티즌은 "복지부동하는 기존 조직으로는 개혁이 어려워 개혁조직을 만들겠다는 것인데 시행 전에 감놔라 배놔라 하지 말고 결과를 갖고 평가하자"고 제안했다.

한 네티즌은 "비대화된 공무원조직의 능률이 떨어지니 일반 기업처럼 경영혁신팀을 만드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만큼 행정 제안 등 개선안을 내는 이들에게 인사고과 가점을 주는 등 장려책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