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격차…1억원은 여전히 월급쟁이 로망, 최상하위 구간 격차 55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봉 1억 원은 여전히 월급쟁이의 로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봉이 1억원을 넘었다면 근로소득자 소득 상위 3%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고소득 월급쟁이가 늘어나고 있지만 억대 연봉은 100명에 3명꼴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윤호중 의원이 7일 국세청에서 제출받아 한국납세자연맹과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연봉으로 10억 원 이상 받은 근로소득자가 186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전체 근로소득자 1618만7649명 가운데 상위 0.01%에 들어간다. 근로소득자 1만 명에 한 명꼴이다. 또 연봉 상위 0.1%의 근로소득자는 1만5990명으로 여기에 포함되려면 연봉이 3억5000만 원을 넘어야 한다. 상위 1%는 연봉 1억3500만 원이 넘고, 상위 5%는 연봉 8500만 원 이상, 상위 10%는 연봉 6700만 원 이상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분석은 최근 고액연봉자가 많다고 하지만 이는 월급쟁이 1000명에 한 명 꼴인 ‘수퍼 리치’ 상위 0.1%에 속하는 사람의 얘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보다 넉넉하게 잡아 연봉 1억원이 넘는 월급쟁이는 상위 3%에 불과하다. 여기서부터 상위 5%를 거쳐 10%에 이르는 지점까지 내려가면 연봉 수준은 급격히 낮아지기 시작한다.

연봉 67000만 원을 경계로 시작되는 상위 10% 아래부터는 억대 연봉과는 거리가 크게 멀어지기 시작해 상위 30%까지 내려오면 연봉이 3700만 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근로소득자의 평균 연봉은 3172만 원까지 떨어진다. 월평균으로는 264만원이다. 세전 기준이어서 여기서 근로소득세를 떼고 나면 실질 소득은 더욱 줄어든다. 더구나 근로소득자 10명 중 6명의 연봉은 이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들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3150만원 이하 연봉을 받는 근로자들은 1022만5454명으로 전체 근로자 중 63%에 달한다. 이들의 평균 연봉은 상위 1%의 평균연봉과 6.94배 차이가 난다.

소득 수준을 10개 구간으로 구분한 소득 10분위 가운데 최고 수준과 최저 수준의 격차도 크다. 최저 수준인 1분위의 평균 연봉은 185만6700원인데 비해 최고 수준인 10분위의 평균 연봉은 1억116만6733원이다. 최상위 10% 소득 구간의 봉급생활자와 최하위 10% 구간의 봉급생활자의 소득격차가 55배에 달한다는 의미다.

윤호중 의원은 “평균 연봉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으로 생활하는 근로자들이 1000만명이 넘는 반면 소득세 최고세율 기준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는 사람도 수만명인 상황”이라며 “소득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소득세율 최고구간을 세분화하고 현행 38%인 최고세율도 끌어올려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 소득세법에 따르면 과표구간과 세율은 1200만원 이하(6%), 1200만~4600만원(15%), 4600만~8800만원(24%), 8800만~1억5000만원(35%), 1억5000만원 초과(38%)로 구성돼 있다.

김동호 선임기자 dong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