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윤리위, 아들 취업 특혜 의혹 김태원 의원에 ‘문제 없음’ 판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누리당 중앙윤리위원회는 3일 김태원 의원 아들의 정부법무공단 채용특혜 논란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결론내렸다.

윤리위원장인 경대수 의원과 윤리관 김제식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사 내용을 종합한 결과 김 의원 아들 채용과 관련해 제기된 특혜 의혹들은 근거가 없거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당 윤리위는 김 의원의 아들을 위해 정부법무공단이 채용 지원 요건을 변경해 혜택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2013년 9월4일 채용공고는 중간 경력의 팀장급을, 2013년 11월1일 채용공고는 초급경력의 변호사를 채용하기 위한 공고로 지원 자격 변경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서류전형에서 김 의원의 아들보다 스펙이 우수한 지원자들이 탈락한 것은 손범규 전 이사장과 정무법무공단 관계자의 진술에 따라 “합격의 여부는 정신자세, 전문지식, 의사 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품행 및 성실성 등 종합적으로 평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출신 로스쿨, 높은 학점만으로 합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의원의 아들이 경력 법관으로 임용될 수 있도록 일종의 ‘경력 쌓기용’ 채용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채용 시점에 법관 임용 여부를 공단이 알 수 없고 정무법무공단 출신 변호사가 판ㆍ검사로 임용된 사례가 있어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경력 법관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김 의원의 아들의 업무를 경감시켜주는 등 편의를 봐준 것이 아니냐는 점에 대해서도 5개월 남짓의 근무기간 동안 송무 33건, 자문 120건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공단 소속 다른 변호사들이 평균 122~139건을 처리한 것에 비해 결코 적은 업무량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김 의원의 아들을 위해 채용 후 급여체계를 개편했다는 제보에 대해서는 급여 체계가 개편됐지만 이는 사시 출신보다 로스쿨 출신의 급여를 낮게 설정하도록 개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 아들 채용의 대가로 김 의원이 당시 발의된 ‘공단 변호사 정원을 늘리는 법 개정안’ 통과를 위해 힘을 모아주겠다고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19대 국회에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만 활동했을 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이력이 없으며 해당 법안의 공동발의자도 아니라는 점에서 법안 개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윤리위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자당 의원에게 면제부를 주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앞서 새정치민주연합 윤리심판원도 지난달 31일 변호사인 딸을 지역구에 있는 대기업에 취업시켰다가 구설에 오른 윤후덕 의원에 대해서 "처벌시한이 지나 징계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가 비판을 받았다.

이은 기자 lee.e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