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틴 온라인 교실] 매점·매석 그래프 모양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Q: 매점.매석이 수요.공급 법칙의 예외라고 배웠습니다. 매점.매석의 그래프 모양은 어떻게 됩니까? 또 완전 탄력도 상태는 무엇인지 예를 들어주세요. <독자 서울 명덕외국어고 2년 장택순님>

A: 여름이 되었으니 청량음료 이야기로 설명을 해 볼게요. 사람들은 더위가 기승을 부릴수록 시원한 청량음료를 많이 찾지요. 청량음료의 값이 내리면 청량음료를 더 많이 사서 마십니다.

반대로 청량음료의 값이 오르면 청량음료 대신 아이스크림이나 주스 같은 다른 시원한 것을 찾게 됩니다. 수요의 법칙이 적용되는 거예요.

그런데 좀 특별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어요. 장사하는 사람들은 한여름이 되면 값이 더 오를 것을 기대하고 재료가 떨어지기 전에 청량음료를 창고에 가득 사 두려 하겠지요. 그걸 매점이라고 해요.

수요의 법칙이 적용되면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보이는 게 정상이죠. 그러나 매점(買占)의 경우에는 값이 어느 정도 올라도 마음 속으로 정해놓은 양과 가격에 이를 때까지 계속 사들이니까, 그래프가 반대로 일정 부분까지는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번에는 공급의 법칙과 매석에 대해 알아보지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청량음료 값이 오를 것 같아서 매점(買占)을 한 상인들은 청량음료의 가격이 기대하는 수준까지 오르기 전에는 내다팔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걸 매석이라고 하는데 이때는 가격이 올라도 공급이 늘지 않지요. 공급의 법칙이 적용될 때는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지요.

그러나 매석(賣惜)의 경우에는 팔려는 사람이 마음 속으로 정해놓은 가격에 이를 때까지 움직이지 않으니까 그래프가 일정 부분까지는 수직 상승하게 되지요.

탄력성이란 무엇인가가 변할 때 다른 것이 그에 반응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완전 탄력성(또는 무한 탄력성)이란 가격이 조금만 변해도 수요나 공급량이 극심하게 춤을 추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빵집에 밀가루를 공급하는 납품업자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어요.

빵집이 여러 군데이고 밀가루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면 밀가루 납품업자는 높은 값을 제시하는 빵집에 밀가루를 공급하려 들겠지요. 그렇게 되면 약간의 가격 차이도 공급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천규승 kdi 경제정보센터 경제교육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