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일본 번역본 "forced to work=일하게 됐다"…'강제성' 물타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태평양전쟁 당시 남태평양에서 미군에 구조되는 한국인 강제징용자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사진제공 국사편찬위원회]

 
일본 정부가 자국 산업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발표한 성명의 일본어 번역본에서 '강제노동'이라는 표현에 물타기를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대사는 5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 회의에서 영어로 정부 성명을 읽으며 "1940년대 몇몇 시설에서 많은 한국인과 다른 나라 사람들이 자신들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환경에서 일하기를 강요받았다(forced to work)"고 말했다.

여기서 '강제노역'을 의미하는 'forced to work'라는 표현과 관련해 6일자 아사히신문이 소개한 일본 정부의 가번역은 "일하게 됐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수동형 표현인 '하타라카사레타'(?かされた)였다.

영어 표현 'forced'는 강제성을 담고 있지만, 일본어 표현 '하타라카사레타'는 '일하게 됐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표현이다. 일본 정부가 이처럼 '강제성'에 물을 탄 번역본을 만든 것은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히 해결됐다'고 주장해온 조선인 강제징용 문제에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수용한 듯한 인상을 자국민에게 주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어이가 없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이래도 되나?",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황당 그 자체"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한반도 식민지배가 합법적인 조약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본 정부는 식민지였던 한반도 사람들에 대한 강제징용을 법적으로 '자국민 징용'의 일환으로 간주하는 입장이다. 그에 따라, 조선 출신 피징용자에 대해 '강제징용피해자'라는 표현을 쓰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자국민과 마찬가지로 '징용공'이라는 표현을 써왔다.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온라인 중앙일보
'조선인 강제노동 해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