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韓·日 정상, 전후세대다운 비전을

중앙일보

입력

오늘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다. 동북아시아가 대전환기에 돌입한 시점에, 오랜 역사적 인연을 가진 한국과 일본의 전후세대 지도자가 만나는 이번 회담은 의미가 깊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이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연쇄적인 정상회담 후 열리는 것이어서 논의의 결과에 대해 국내외의 관심이 높다.

양국 정상은 이번에 북한 핵 문제,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문제, 인적교류 확대 문제 등을 논의한다. 현안들 하나하나가 동북아시아 전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문제들이고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해법 도출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양국은 아시아에서 자유와 민주, 시장경제체제를 착근시킨 대표적인 국가라 이러한 이념에 기초해 미래지향적인 해법이 도출될 것을 기대한다.

이번 회담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양국의 의견조율이다. 양국은 이번에 북한 핵의 불용(不容)과 평화적 해결의 원칙하에서 북한이 더 이상 사태를 악화시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룩해야 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평화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해결해 동북아의 번영과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비전과 의욕을 세계에 내보여야만 한다.

이 외에도 양국 정상은 한.일 간의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미래지향적 발전에 대한 확고한 비전과 신념을 도출해내야만 한다. 양국이 더 이상 과거사에 미래를 얽매여서는 안되며 여기에 이의를 달 양국 국민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대통령이 국내외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현충일 방일을 강행하고 과거사 문제와 일본의 유사(有事)법제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면 일본 역시 스스로 진정한 과거반성과 이에 합당한 모습을 보였어야 한다. 이 점에서 일본의 자세는 미흡했다.

양국 정상은 한.일 간의 확고한 우의와 미래비전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과거와 퇴영의 그림자를 몰아내고 동북아의 발전과 평화가 보장되는 21세기 아시아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