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 토론방] 신문 공동배달제 정부 지원 환영할 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다. 시장경제 질서를 국가가 나서서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며 언론 길들이기라는 오해의 소지가 크다는 게 이들의 논리였다. 반면 찬성 측은 대부분의 신문사가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주요 신문사만 남게 되고 결국 언론계가 균형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선 기자

신문공동배달제(공배제)를 둘러싸고 제기된 여러 논란 가운데 독자들에게 가장 많이 전달된 내용은 정부가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진행하는 언론 탄압의 일환이며, 그 핵심 목표는 "마음에 들지 않는 신문, 코드가 맞지 않는 신문을 죽이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수를 많이 발행하는 신문들은 이를 비중있게 보도하고 있다. 독자들은 공배제에 대한 '사실'보다 '주장'을 더 많이 접한 결과 공배제 추진의 필요성이나 사회적 유용성을 이해하기 전에 '비판 언론 길들이기'라든가 '언론탄압'이라는 단어에 더 익숙한 상태다.

그런데 신문 배달과 관련해 터져나오는 불만이 적지 않다. 배달 사고는 메이저 신문보다 마이너 신문 쪽에서 자주 일어난다.

물적 토대가 약한 신문들 입장에서 배달 사고는 시스템의 문제일 수 있으므로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는 절박한 사안이다. 공배제가 배달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라면 독자 입장에서는 환영할 일이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공배제 관련 논의가 신문사 간, 혹은 신문사와 정부 간의 갈등으로 비춰지고 정당까지 가세해 정치적으로 쟁점화한 부분은 독자의 입장에서 아쉬움이 많다.

언론은 무조건 비난부터 하기보다 왜 일부 신문들이 공배제를 추진하게 됐는지를 독자들에게 소상하게 알려줘야 한다. 공배제를 잘 모르는 독자들에게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쟁'이 당황스럽다.

최민희(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