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고가 폐쇄후 교통분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7월 1일 자정부터 청계고가도로 차량 통행이 전면 통제된다. 그러나 착공 직후 2주일 동안 청계천 주변 교통량을 조사해 소통 대책을 마련한다.

이명박(李明博)서울시장은 4일 국무회의에서 청계천 복원사업 추진상황을 보고하면서 "다음달 1일 예정대로 청계천 복원공사를 시작하겠지만 착공 후 2주 정도 청계고가 폐쇄에 따른 교통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경찰.교통전문가들과 함께 점검대책반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예정대로 청계고가와 청계천로 일부 차선에 대한 교통 통제는 7월 1일부터 시작하지만 이전까지는 교통을 통제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청계천 상인들을 위해 허용해온 고가 밑 야간주차는 오는 20일부터 금지한다.

그동안 시민단체와 교통전문가들은 착공 전에 미리 청계고가에 대한 교통통제를 실시해 교통영향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해 왔지만 서울시는 이를 수용하지 않기로 최종 방침을 정했다.

서울시는 3개 구간으로 나눠 동시에 진행할 공사를 담당할 구간별 시공업체를 이달 중순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시공사는 착공과 동시에 10일 이내에 분진 차단막 등 안전시설을 설치하며 이후 4개월 동안 고가도로 철거작업을 진행한다. 본격적인 복개도로 제거작업은 10월 이후 시작해 2004년 1월까지 끝낼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철거작업 중 발생한 폐기물을 운반할 트럭은 교통량이 적은 야간에만 운행해 주변 교통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방침"이라며 "교차로 부근의 철거는 차량과 시민들의 통행을 고려해 시차를 두고 진행하고 철거 후에는 곧바로 임시 교량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李시장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2백30여개 청계천 주변 상인단체 중 현재까지 집단 반발 움직임을 보이는 곳은 14개 단체 8천여명이며 이 가운데 30%가 강경한 입장"이라며 "영업 불편을 최소화하고 이주 지원책을 마련, 노점상 설득에 나서겠다"고 보고했다.

민동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