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된 의사 “내 병원 타격 입어도 이름 공개 잘한 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메르스에 감염됐다가 완치돼 8일 퇴원한 서울 천호동 365열린의원 원장 J씨(왼쪽 둘째). 그는 “이름과 얼굴이 공개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J 원장이 이해식 강동구청장(왼쪽 셋째) 등 주민들로부터 완치 축하를 받으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이겨 병원 문을 나서는 사람도 생겨나고 있다. 최초 환자 A씨(68)의 부인에 이어 8일 5번 환자 J씨(50)가 두 번째로 퇴원했다.

그는 지난달 17일 A씨를 진료하다 감염된 서울 강동구 365열린의원의 원장이다.

8일 퇴원 직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J씨를 만났다. 그는 완치돼 바이러스를 전파할 염려가 없는데도 마스크와 장갑을 낀 모습으로 나타났다. 흰 셔츠에 청색 넥타이를 맨 말끔한 차림이었다.

비교적 건강해 보였고 얼굴빛이 밝았다. J씨는 “메르스를 앓아보니 일찍 발견해 치료를 받으면 큰 문제 없이 회복되는 병인 것 같다. 국민들이 너무 두려워하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실명·얼굴 공개를 원치 않았다. 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듯했다.

 - 현재 몸 상태는.

 “입원 전과 같다.”

 - 최초 환자 A씨를 진료할 때의 상황을 설명해달라.

 “지난달 17일 A씨가 찾아왔다. A씨는 평택성모병원에서 사흘간 입원 치료를 받고도 차도가 없어 왔다고 했다. 예전부터 보던 환자라 몸 상태에 대해 잘 아는데, 상태가 아주 안 좋았다. 고열·호흡곤란을 호소했다. 50㎝도 안 되는 거리에서 마주 앉아 10분 정도 진료했다. X선 촬영으로 보니 폐렴 증상이 심각해 삼성서울병원에 보냈다.”

 - 메르스를 의심하지는 않았나.

 “폐렴이라고 생각했다. 문진 중에 바레인에 다녀왔다는 얘기를 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 갔다 왔다는 사실을 말하지는 않았다. 설사 그 얘기를 했더라도 메르스로 의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때는 메르스에 대해 잘 몰랐다. 보건당국이나 의사협회에서 메르스에 관한 지침을 받은 적이 없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씨가 메르스 감염자란 사실은 언제 알았나.

 “A씨가 확진 받은 지난달 20일 질병관리본부가 전화로 알려줬다. 보건소에서 격리를 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지 못해 마스크를 끼고 환자를 진료하다 22일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 언제, 어떤 증세가 나타났나.

 “25일 밤부터 미열이 나고 소화가 안 됐다. 근육통도 나타났다. 다음 날 아침 아무래도 이상하다 싶어 보건소에 신고했다. 6시간 뒤쯤 국가지정 격리병상으로 이송돼 검사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아예 모르는 병이어서 그런지 무섭지는 않았다.”

 - 증세는 어떻게 진행됐나.

 “처음 3~4일은 다소 힘들었다. 심할 땐 39.7도까지 열이 올랐다. 무릎과 허벅지에 근육통이 심했다. 소화가 안 되고, 설사하고, 식욕이 없어 사흘 동안 식사를 못했다. 캔에 든 환자용 유동식을 조금씩 마시며 버텼다. 3일째부터는 수액으로 영양 공급을 받았다.”

 - 정부가 병원 이름을 공개했는데.

 “잘한 일이라 생각한다. 공개 안 하면 시간을 지체하게 돼 병이 깊어지고 많은 사람에게 옮긴다. 우리 병원은 당장 타격을 입겠지만 꼭 해야 할 일은 해야 하지 않겠나.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병원 운영 문제가) 회복될 것이라고 믿는다.”

 -투병 중 어떤 점이 가장 고통스러웠나.

 “초기에 진단받고 일찍 치료에 들어가서 그런지 고통이 심하지 않았다. 전에 걸렸던 독감의 통증이 7이라면 메르스는 3 또는 4 정도였다. 다만 신장에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고 해서 걱정했다. 다행히 후유증은 생기지 않았다.” (그의 주치의였던 최모 전문의는 “평소 건강 상태나 연령, 치료 시작 시기, 바이러스 노출 정도에 따라 증세나 고통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특히 치료 시기가 중요하다. 폐렴이 심한 상태에서 치료를 하면 완치 뒤에도 폐의 세포가 굳는 섬유화증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격리병실 생활은.

 “가족들이 보고 싶은 것 외에는 크게 불편한 것은 없었다. TV와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J씨는 일주일쯤 집에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진료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