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방해 주동학생 학과별로 선별 징계|서울대교수회의 결시학생 처리 교수재량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서울대는 25일까지 실시된 중간고사 방해 주동학생에 대해서는 학과별로 선별, 학칙에 따라 징계조치키로 했다.
또 중간고사 불응학생에 대해서는 일단 0점처리한다는 당초 원칙을 재확인했으나 재시험·과제물을 부과하는 문제 등은 담당교수들의 재량에 맡기기로 했다.
이와함께 교내 학생집회불허 방침은 학생들에게 줄 자극용 고려, 백지화하고 한때 폐쇄했던 학생회관도 다시 개방했다.
서울대는 25일하오 경찰철수후의 학원대책등을 협의하기 위해 학·처장회의와 학과장급이상 보직교수(1백50명)회의를 잇달아 열고 이같은 방침을 세웠다.
교수들은 이에 따라 앞으로 중간고사 방해 주동학생들을 가려내 학파별로 그정도에 따라 근신· 정학· 제명까지의 학사징계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또 중간고사 결시생에 대해서는 0점처리를 원칙으로 하되 학과교수의 재량에 맡기기로 의견을 모으고 이에 따라 일부 단과대학과 학파에서는 이들 결시생들에게 재시험용 치르거나 과제물로 대신키로 결정했다.
인문대철학과는 이미 중간시험에 결시한 전공과정 학생들로부터 과제물을 받았으며 인문대 국문과도 26일 결시한 전공과정 학생들에게 과제물을 제출토록 지시했다.
교수들은 이와 함께 지난24일 교내에 투입된 경찰과의 충돌 등을 예방하기 위해 취했던 학생들의 행사 등 자치활동 중지 조치는▲사실상 실현되기 어려우며 오히려 학생들을 자극, 새로운 교내 소요 요인이될 우려가 크고▲건전한 학생활동은 권장해야하는 것이 자율화의 기본취지라는 점을 들어 백지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학교측은 오는 30일부터 11윌3일로 예정된 학생들의「민주화축제」등 총학생회가 주도하는 행사 등 불법집회는 계속 인정할수 없다고 밝혔다.
교수들은 또 26일하오 열릴 예정인 학생들의 「10·26사태 5주년 학생총회」에 대한 대책용 논의, 학과별로 주도 학생들이 집회장소에 나가지 못하도록 학부모들과 함께 설득하고 전교수들이 집회장소에 나가 학생들을 지도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