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초혼 연령, 남성·여성 둘 다 30세 넘어…주된 이유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평균 초혼 연령’. [사진 중앙포토]

평균 초혼 연령 증가 수치가 숫자로 확인됐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30만5500건으로 전년보다 1만7300건(5.4%) 줄었다. 이는 2003년(30만2500건)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도 2004년 6.5건에서 2014년 7.0건으로 감소했다. 이는 1970년 통계 산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혼인 감소는 올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은 지난 1~2월 혼인 건수가 4만9300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2%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결혼 적령기 인구가 줄고 있는 데에 더해 경기 침체로 많은 비용이 드는 결혼을 선택하기가 더 어려워졌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했다.

지난해 25~34세 연령대 남자 수는 전년보다 1.8% 줄었다. 하지만 이 나이대 남자의 지난해 혼인 건수는 8.2% 줄었다. 취업과 연애, 결혼을 포기한 ‘삼포세대’를 뛰어넘어 연애와 결혼, 출산, 인간관계, 주택 구매를 포기한 이른바 ‘오포 세대’가 통계로 증명된 셈이다. 이러한 현상은 평균 초혼 연령을 올리는 원인이 된다.

또 27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혼인·이혼 및 가치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민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2.8세, 여성 30.7세로, 20년 전(1994년)에 비해 각각 4.2세, 4.9세 늦어졌다.

평균 초혼 연령 30세를 남성과 여성 모두 넘긴 셈이다.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10년 전인 2004년과 비교해도 남성 1.9세, 여성 2.4세 늦어졌다.

온라인 중앙일보 jstar@joongang.co.kr
‘평균 초혼 연령’.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