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반박' 대결에 중도파 가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이 12일 새 원내대표를 뽑는다. 경선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2파전이었다. 김무성.이재오 의원이 당사자다. 이 중 김 의원은 친박근혜로, 이 의원은 친이명박으로 분류된다. 그래서 '박근혜-이명박 대리전'이라는 분석까지 나왔다. 여기에 변수가 생겼다. 고흥길.안택수 의원이 경선 출마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이들은 각각 '친박 대 반박'의 대결 구도를 막겠다고 선언했다.

5일 출마 의사를 밝힌 고 의원은 "당내에서 대권 경쟁이 벌어질 예정인 만큼 엄정 중립의 자세로 원내 전략을 수립, 집행해 나갈 원내대표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현재 한나라당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면서 "원내대표 경선이 '박 대표-이 시장'의 대리전 형태가 되면 당에 악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은 "대권 경쟁의 여파가 의정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원내대표.총무 경선에 여러 차례 출마한 안택수 의원은 일찌감치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안 의원은 "친박-반박으로 싸움이 전개되면 의원들이 능력과 투쟁력을 겸비한 나에게로 쏠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두 달 전 사무총장에서 물러난 뒤 원내대표 도전 의사를 밝혀온 김무성 의원은 한나라당에 박근혜 체제가 뿌리 내리는 데 기여했다. 따라서 그가 원내대표가 되면 박 대표가 주도하는 사립학교법 강경투쟁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재오 의원은 김 의원이 부각되면서 '대응 카드'로 부상했다. 그는 2002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이명박 후보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이 의원을 원내대표로 미는 그룹은 당 발전전략연구회와 새정치수요모임 소속 일부 의원이라고 한다.

새 원내대표는 장외투쟁을 벌이면서 대여 투쟁과 협상을 지휘해야 한다. 박근혜 대표와 함께 5월 지방선거도 치러야 하며, 6~7월 중 실시되는 한나라당 전당대회 이후에는 대선 후보들의 경쟁도 관리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한나라당 의원들이 이번 원내대표 경선의 성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후보 간 우열이 가려질 전망이다.

강주안.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