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분열위기 대화로 막았다|교황청의 해방신학 사문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로마 교황청과 남미 가톨릭 해방운동간의 긴장관계가 마침내 「화해의 대화」를 시작했다.
대화를 마련한 계기는 지난7일의 브라질 해방신학자 「레으나르도·보프」신부에대한 로마교황청 사문회-.
세계적 이목을 모았던 사문회는 재판-심문-대화로 변형돼 단죄의 종교재판을 점친 당초 예상과는 전혀 달리 양측 모두가 만족을 표명한 타협의 성명서로 폐막됐다.
정면 대결을 피한 양측의 타협 배경은▲교황의 절대권 인정▲가톨릭교회의 분열방지▲남미해방운동의 실세인정▲해방신학의 마르크스주의적 행동경계 수락▲제2차 바티칸공의회 선언의선교목표와 해방운동이론 형성의 관계등이다.
「보프」 신부 (46) 는「루벰·알베스」 (51)·「휴고·아스만」 (51)등과 함께 신앙실천(Praxis)을 통한 크리스천의 현실개혁참여를 강력히 주장해온 브라질 급진해방운동의 기수-.
이들의 신학노선은「진리의 폭력」을 사용, 불의·억압·착취·불평등 상황을 해소하려는 평화적 해방론을 주장하는 「헬데르·카마라」대주교등의 온건노선과는 달리 혁명적 투쟁의 사회변혁참여를 강조한다.
급진 해방운동노선과 관련한 교황청의 가장 큰 우려는 교황의 절대권에 대한 신학적 도전이다.
「보프」신부등의 일부 급진 해방신학노선은 교회 자체까지의 「해방」을 역설, 추기경회의 선출 교황이 교구장을 임명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양측의 타협은 남미해방운동의 교황의 절대권에 대한 도전을 삼가는 것과 교황청의 해방신학 인정이 절충된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교황청의 해방신학인정은 마르크스주의적 계급투쟁과 폭력혁명을 배제한 것이다.
남미 해방신학의 실세는 신학자·성직자등 4만여명의 「보프」 신부 지지서명과2명의 브라질 추기경 로마동행에서 잘 나타났다.
특히 서명자 가운데 50여명의 추기경이 들어 있다는 사실 및 「로사이거」 (포트레자대교구장) 「앙무슈」 추기경(사웅파울루대교구장)의 동행은 교황청이「보프」신부를 일방적으로 단죄할수 없는 현실적 한계성이기도 했다.
「보프」 신부 지지서명 추기경수는 전세계 가톨릭추기경(1백30여명)의 40%에 달하는 숫자다.
뿐만 아니라 해방신학이 풍미하는 중남미는 전인구(3억9천만명)의 90%가 가톨릭으로 세계 카톨릭인구(8억)의 절반가까운 신자를 가진 가톨릭의 보고다.
따라서 사문회가 「보프」신부를 단죄할 경우 남미가톨릭과 바티칸측은 78년현교황 선출 전야와 같은 교회분열의 위기를 겪게 될지도 모른다.
피차가 현실적 「힘」 의 한계성을 인정한 양측의 타협은 남미해방신학의 최고권위자인 「구스타브·구티에레즈」 신부가 주장하는 이지역의 현실변혁을 갈망하는 『혁명적 열기』 를 어느정도 수긍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과격노선의「환·루이스·세군도」등이 주장하는 『폭력혁명 불사』의 입장은 인정지 않은게 분명하다.
교황청이 해방신학을 완전 거부할 수 없는 또 하나의 한계성은 이신학의 이론과 운동이 제2차 바티칸공의회 (65년) 가 선언한 사회 정의에 대한 교회의 관심 표명과 교황청 공인을 받은 메데인주교회의 (68년)가 내놓은 문헌을 기초해 태동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해방신학 단죄는 바티칸이 자칫 「논리상의 모순」 이라는 곤경에 처할수도 있는것이다.
그러나 교항청과 남미해방신학의 토론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사문종료 성명은 『「보프」신부의 저서에 나타난 교리상의 문제는 신앙교리성성이 계속 검토한다』 는 입장을 명시, 후토론」이 계속될 것임을 밝혔다.
극한의 대립을 피하고 바티칸의 위계질서와 서로간의 한계성을 솔직히 시인한 교황청과 남미해방운동의 긴장해소는 앞으로의 대화가 더욱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