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 달았더니 똑똑해진 LED … 주차할 곳 알려주고 빛 자동 조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전구가 똑똑해졌다. 기기들이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 덕분이다. 에디슨이 1879년 백열전구를 발명한 이후 136년만의 진화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자비츠 센터. 이곳에서 ‘2015 국제 조명 박람회(LFI)’가 열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 행사에서 각기 야심작인 ‘스마트 조명’ 제품들을 내놨다. 기존의 백열전구가 아닌 ‘빛의 반도체’로 불리는 LED(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한 것은 기본. 두 회사는 이 전구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고 통신기술과 소형 반도체 일종인 센서를 더한 사물인터넷 기술로 전구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모시켰다.

 삼성전자의 ‘스마트 LED조명 플랫폼’은 조명에 다양한 센서와 통신모듈을 붙인 뒤 전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대형 주차장에 이 시스템을 깐 조명을 설치하면 전구에 있는 ‘눈’과 같은 이미지센서로 빈 자리를 확인해 주차하려는 사람들에게 어느 곳이 비어 있는 지 깜빡이는 전구를 통해 알릴 수 있다. 전구에 동작인식 센서를 더하면 보다 많은 일이 가능해진다. 사람이 많이 모여드는 백화점에선 CCTV(폐쇄회로 영상장치)처럼 만들어진 조명 만으로 사람들의 동선을 파악해 효율적인 마케팅을 벌일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 기술 기반의 이 플랫폼(LED전구 모듈+센서+소프트웨어)을 공개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다양한 글로벌 회사들과 협력해 스마트 조명 시장을 넓히겠다”는 뜻이다. 오경석 삼성전자 LED사업부 부사장은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스마트 조명이 할 수 있는 역할은 무한하게 확대될 것”이라며 “다양한 기술을 접목시킨 제품과 솔루션으로 조명 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역시 ‘스마트 전구’를 앞세웠다. 특히 이번엔 무선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전구를 조절할 수 있는 2종의 새 제품도 선보였다. 기존 대비 광효율을 최대 12% 높인 LED고천장등과 조도센서·동작인식센서를 내장해 눈부심이 적으며 고른 빛을 내는 LED트로퍼가 야심작이다. 두 제품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빛을 조절해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도 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