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올해 중 방미, 동맹 강화 등 협의 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이 4일 한·미 관계와 관련, “양국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해 고위급 인사 교류가 활성화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올해 중 방미를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동맹의 역할 제고,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등 협력 방안에 대한 협의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중앙일보-CSIS 포럼’(6일 개최) 참석차 방한한 존 햄리 소장 등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같이 올해 중 방미 계획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취임 당시만 해도 전작권 전환, 방위비 분담 협상,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등 중요한 현안들이 많이 있었는데, 지난 2년간 양국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한 협의를 통해 현안들을 모두 원만히 해결할 수 있었다”며 “양국 간 차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이런 능력이 바로 한·미 동맹의 가장 큰 힘”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선 “일본을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중요한 우방으로 생각하고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및 종전 70주년을 계기로 일본 총리의 보다 전향적인 역사인식 표명 등의 조치를 통해 한·일 간 참된 화해와 미래지향적 협력이 이뤄질 수 있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선 대일 외교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 외교는 과거사에 매몰되지 않고,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면서 한·미 동맹과 한·일 관계, 한·중 관계 등의 외교 문제는 또 다른 차원의 분명한 목표와 방향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과 관련, “아베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를 비롯한 과거사 문제에 대해 진실한 사과로 이웃 국가들과 신뢰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살리지 못한 것은 미국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며 “일본이 역사를 직시하지 못하고 스스로 과거사 문제에 매몰돼 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우리가 해결해줄 수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베 총리의 방미 이후 미·일 간 신(新)밀월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여권 일각에선 윤병세 외교부 장관 책임론까지 거론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은 이날 한국 외교의 성과를 평가하고 소신·실리 외교를 강조하면서 현재의 외교팀에 대한 신임의 뜻을 밝혔다.

신용호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