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황우석교수] 서울대 조사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 위원회 어떻게 구성하나=서울대 소장파 교수들은 과학진실성위원회(OSI)의 설치를 요구했으나 서울대 측은 이번 조사를 임시기구 성격인 조사위원회에 맡기기로 했다. 노정혜 연구처장은 "OSI는 외국 사례를 종합해 국내 실정에 맞게 설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OSI 설치가 당장 어려워 조사위원회에 재검증을 맡긴다는 의미다.

조사위원회의 구성은 초기엔 10명이 넘지 않을 전망이다. 초기에는 서울대 내의 중립적이며 전문적인 인사로 구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검증과정에서 외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영입할 방침이다. 서울대는 조사위원의 명단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황 교수팀과 직접 관련이 없고, 총장 건의문에 서명한 소장파 학자를 제외하면 실제로 위원회에 참여할 해당 분야 전문가는 극히 제한된다.

◆ 조사는 어떻게 하나=조사 방법과 일정은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조사는 크게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눠 진행될 전망이다.

예비조사는 언론이나 인터넷상에서 제기된 의혹을 수집해 정리하는 일로 시작한다. 이는 조사위원회가 구성되면 곧바로 시작된다. 자료 수집이 끝나면 황 교수팀의 해명을 듣게 된다. 연구팀의 실험 노트와 가공 전 데이터 등도 분석하고 필요하면 연구원들과 인터뷰도 한다. 이 단계에서 조사 결과가 '단순한 실수'로 나오면 조사가 완료된다.

예비조사에서도 진위 검증이 안 되면 본조사를 시행한다. 황 교수 논문은 새로운 분야인 만큼 진실을 밝히려면 본조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과학계의 분석이다. 본조사의 방향과 범위는 예비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사실을 참고해 조사위원회가 결정한다. 본조사에서는 ▶줄기세포 사진 중복 문제 ▶줄기세포와 환자 체세포 DNA 지문의 지나친 유사성 ▶줄기세포 숫자 등 그동안 제기된 문제를 조사한다. 검증 결과가 시원치 않으면 DNA 검사를 다시 할 수도 있다. 조사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학교 당국에 보고하고 학교 당국은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한편 일부에서는 본조사 과정에서 새로운 의혹이 제기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본조사뿐 아니라 별도의 '심층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심층조사가 진행되면 2005년 사이언스 논문뿐 아니라 황 교수팀의 연구 내용 전반으로 조사가 확대되고 기존 실험의 재연을 황 교수팀에 요구할 수도 있다.

과학계에서는 조사위원회가 신중하게 접근해 줄 것을 당부한다. 전북대 과학학과 김근배 교수는 "조사는 2005년 논문에 집중돼야 하고, 조사과정에서 줄기세포의 핵심 기술이나 줄기세포 자체가 유출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조사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서울대가 독자적으로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보다 현재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미국 피츠버그대학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특별취재팀=박방주 과학전문기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신성식.김정수.박성우.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