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아 몰락한 핀란드 … 'IT 사업가' 집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시필레

19일 치러진 핀란드 총선에서 집권당이 패했다. 알렉산더 스터브 총리가 이끄는 ‘국민연합당’(NCP)과 그의 연정 파트너인 ‘사회민주당’(SDP)은 모두 15석(전체 200석)을 잃었다.

 대신 4년간 야당이었던 중도 성향의 ‘중앙당’이 14석 늘어난 49석(21.1%)을 차지했고 반(反) 유럽 기치를 내세운 ‘핀란드인(人)당’이 38석(17.6%)으로 2위였다. 반면 NCP와 SDP는 각각 7석과 8석이 준 37석(18.2%)과 34석(16.5%)에 그쳤다.

 현지 언론은 “노키아 몰락 이후 침체한 경제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기대심리가 중앙당으로 몰렸다”고 분석했다. 핀란드는 2003년 이래 가장 높은 실업률(9.2%)을 기록 중이다.

 중앙당을 승리로 이끈 인물이 유하 시필레(53) 대표다. 핀란드 서부 오울루 출신인 그는 핀란드 언론도 ‘미스터리 맨’이라고 부를 정도로 알려진 게 없다. 젊은 시절 당 청년 조직에 몸담았다곤 하나 잠시뿐이었다. 대신 루터교 부흥 운동에 열심이었다. IT 기업에서 일하다 나중엔 텔레콤 회사를 차렸고, 이를 미국계 회사에 팔면서 백만장자가 됐다.

 2011년 의원 배지를 달면서 정계에 발을 들여놓았는데, 이듬해 당 대표가 됐다. 최근엔 줄곧 지지도 1위의 후보였다. 핀란드 언론인 YLE가 “논쟁을 피하고 지지율 우위를 지키며 이목을 끌지 말라는 게 선거 전략인 것 같다”고 할 정도로 구체적인 정견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기업의 최고경영자(CEO)형 리더십을 표방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그 스스로도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기업하듯 국가를 운영하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다. 기업 규제 완화에도 적극적이다. 공공부문 지출을 줄여 정부부채 감축을 약속하기도 했다.

 시필레가 막상 총리가 되기까진 시간이 걸릴 듯하다. 과반 연정을 구성하기 위해선 4개의 큰 정당 중 최소 3개가 참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스의 부채 탕감에 냉소적인 핀란드인당이 연정에 참여하게 되면 핀란드가 그리스 문제에 보다 엄격해질 수 있다.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우호 관계를 유지해온 핀란드로선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여부도 숙제다.

런던=고정애 특파원 ockh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