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으로 보는 관절질환] 목디스크·경추관협착증, 증상 헷갈리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증상은 닮은꼴이지만 전혀 다른 질환이 종종 있다. 경추(목뼈)디스크와 경추관협착증이 그렇다. ‘뒷목이 뻐근하고 어깨가 결린다’며 60대 남성이 내원했다. 그는 처음에는 단순한 근육통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통증이 계속되자 디스크를 걱정하며 병원을 찾았다. X선과 MRI(자기공명영상촬영)를 해보니 목뼈 사이를 지나는 신경관이 좁아져 있었다. 경추관협착증이었다. 다행히 그는 간단한 신경성형술을 받고 당일 퇴원했다.

목뼈 주변이 아파 병원을 찾는 많은 환자가 자신의 질환을 목디스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검사해 보면 경추관협착증이 많다. 목디스크는 목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가 돌출돼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반면에 경추관협착증은 목뼈 부위를 지나는 신경통로인 경추관이 퇴행성 변화로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이 두 질환은 증상이 매우 유사하다. 증상 초기엔 모두 목뼈 주변이 아프다가 점차 어깨·팔까지 통증이 번지고, 심한 경우 다리까지 마비가 나타난다. 하지만 증상이 발생한 시점과 진행을 생각하면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

제일정형외과병원 문수현 원장

 예컨대 목디스크는 충격이나 나쁜 자세로 디스크가 돌출된 뒤 통증과 감각 이상이 빠르게 나타난다. 때론 증상이 좋아지기도 한다. 반면에 경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를수록 심해진다.

경추관협착증이라고 해도 미리 치료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과 같은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한 달 이상 증상이 계속되면 비수술 치료를 고려한다. 신경성형술이 등장하면서 수술에 대한 부담을 많이 덜었다.

신경성형술은 지름 2㎜의 가느다란 특수 카테터를 병소 부위까지 밀어넣어 약물을 주입하는 시술이다. 약물은 신경 유착과 염증을 제거하고 부어 있는 신경을 안정시킨다. 눌린 신경이 풀리면서 증상이 소실된다. 시술시간은 15~20분으로 짧다. 의사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증상 개선을 확인하면서 치료한다. 그만큼 안전하고 정확하다. 당일 치료가 가능해 환자는 잠시 휴식을 취한 뒤 퇴원한다.

 경추관협착증이 심하면 다리 감각까지 둔해져 보행 장애와 마비가 올 수 있다. 이때는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수술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미세현미경으로 협착이 일어난 부위를 직접 보며 신경관을 넓혀 준다. 정밀한 치료로 주변 신경이나 근육 손상이 매우 적다. 통증의 근본 원인까지 제거할 수 있다. 전신마취를 하지만 수술시간은 1~2시간이면 끝나고, 출혈도 별로 없다. 최소 절개를 하므로 고령자나 당뇨병·고혈압 환자도 무리 없이 수술받을 수 있다.

제일정형외과병원 문수현 원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