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위안부 문제는 성을 목적으로 한 여성 매매 행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국무부는 30일(현지시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을 목적으로 여성을 매매(trafficking)한 행위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동일하다”고 밝혔다. 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지난 27일자 워싱턴포스트 (WP) 인터뷰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인신 매매의 희생자’로 표현한 데 대한 본지의 문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이 밝혔듯이 그간 “성을 목적으로 여성을 매매하는데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국무부는 아베 총리의 다음달 방미를 의식한 듯 입장 변화가 없음을 밝히면서도 이번 답변에선 ‘일본군’이라는 표현은 담지 않았다. 국무부는 아베 총리의 WP 인터뷰에 대해서도 “아베 총리가 올해 들어 과거사와 전후 일본의 평화 기여에 대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내는데 대해 환영해 왔다”며 “WP 인터뷰를 같은 맥락에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모든 쪽에서 과거사 문제를 치유와 화해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고 했다. 원론적 답변이지만 과거사 문제 해결의 당사자로 ‘모든 쪽’을 거론해 한국도 화해에 나설 주체임을 시사했다.

이날 미국 하원의 지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코커스 공동 의장인 제리 코널리 민주당 하원의원은 “아베 총리가 이끄는 일본 정부는 과거 일제가 식민 지배와 태평양 전쟁 중 저지른 잔혹 행위를 확실하고 명확히 인정해야 한다는데 십분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워싱턴한인연합회에 보낸 서한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폄하하거나 일본 정부의 뉘우침을 약화시키는 노력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또 “일부 일본 관료들이 역사를 인정해야 하는 점을 무시해온 것은 상당히 충격적”이라며 “안타깝게도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도발적인 발언을 통해 정부 내 이 같은 분위기를 만드는데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위안부들의 고난은 역사 기록의 문제로, 아베 총리는 이들과 이들의 가족이 받아야 마땅한 존엄과 존경을 박탈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