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Story] "최고 때 바꿔라" "아내와 상의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투자의 귀재로 통하는 워런 버핏(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당신이 둘일 수는 없다'란 인생 좌우명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 그는 "아침에 일어나 오늘 무슨 일을 할지를 생각하고, 그 일이 다음날 신문 1면에 날만한 일인지 고민하라"고 했다. 결국 그의 좌우명은 한 번밖에 살지 못하는 인생인 만큼 좀 더 의미 있는 일에 몰두해야 한다는 뜻이다. 미국의 경제잡지 비즈니스2.0은 버핏 등 미국의 저명인사 49명에게 삶의 좌우명(Golden Rule)을 묻고, 이를 최신호에 소개했다.

앤디 그로브(인텔 전 회장)의 좌우명은 '지나치게 의심이 많은 사람만이 살아 남는다'이다. 다소 특이해 보이지만 그의 설명을 듣고나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는 "뭔가 일이 잘못될 것 같다는 느낌이 들 때는 오히려 편집광적으로 의심하는 게 오히려 유리하다.

특히 지금처럼 미국 경제의 기초체력이 허약해 보일 때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 기업 CEO는 최고 의심책임자(Chief Paranoid Officer)가 돼야 한다"고 했다. '성공의 정점에 올랐다고 생각될 때 사업을 과감하게 재정비하라'. 이는 에드 잰더(모토로라 회장)의 좌우명이다.

그는 "사업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도록 직원들의 업무를 바꿔보는 것이 좋다. 사업 재정비는 CEO에겐 다소 이상하게 들릴지 몰라도 새로운 혁신의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

수십억 달러의 자산을 가지고 기업 사냥에 재능을 보여 온 칼 아이칸의 좌우명은 '사람을 판단할 때, 특히 자신을 판단할 때 행운과 진짜 실력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이다. '당신이 어떤 직위에 있느냐보다 어떤 사람인지를 기억하라'(브래드 앤더슨 베스트바이 CEO)도 비슷한 유형이다.

또 포 브론슨(작가)은 '아내와 늘 상의하라', 스티브 발머(마이크로소프트 CEO)는 '인재 채용에 가장 역점을 둬라', 폴 제이컵스(퀄컴 CEO)는 '관습적인 룰을 거슬러 가라'를 좌우명으로 삼고 있다. 엘리엇 스피처(뉴욕주 검찰총장)는 '직접 말할 수 있는 것을 글로 쓰지 마라. 행동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을 말로만 표시하지 마라. 그리고 중요한 일은 절대 e-메일로 하지 마라'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정하원 중앙데일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