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서 완전분해 되는 스텐트 세계 첫 개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전남대병원 심장질환 특성화 연구센터는 한국기계연구원 박수아 박사팀과 공동으로 혈관 내에서 완전 분해되는 생분해성 약물용출 관상동맥 스텐트(이하 PCL스텐트, 사진)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PCL 스텐트는 심장혈관에 시술 후 6~9개월이 지나면 체내에 완전히 흡수돼 없어지는 생체적합형 생분해성 스텐트다. 3D프린팅 기술을 이용, PLGA・PEG 중합체로 만들어낸 PCL스텐트가 핵심이다. 이를 이용하면 혈관에 스텐트가 남지 않아 시술 후 환자가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고, 스텐트 시술 직후 치과치료・내시경검사・수술 등을 받을 수도 있다.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는 “돼지 심장혈관을 대상으로 한 이식 실험에서도 PCL 스텐트의 효과(신생내막 증식 억제, 소규모 염증반응 등)가 입증됐다”며 “향후 PCL스텐트가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등의 관상동맥질환자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머터리얼스 레터스(Materials Letters)’ 2월호에 발표됐다.

[인기기사]

·혈관서 완전분해 되는 스텐트 세계 첫 개발 [2015/03/10] 
·명지병원, ‘사물인터넷’ 미래의학 세미나 성료 [2015/03/10] 
·보고 또 보고? [2015/03/10] 
·제2회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 수상자는? [2015/03/10] 
·난소암 발생 위치따라 암 유전자 달라 [2015/03/10]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