넴초프 추모 7만 인파 "두렵지 않다 … 푸틴 없는 러시아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때론 죽음이 더 웅변한다. 지난달 27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궁 인근에서 암살 당한 야권 지도자 보리스 넴초프 전 부총리가 1일 주도하려던 집회는 그를 추모하는 자리가 됐다. ‘평범한’ 집회였을 자리는 그러나 수만 명이 모여 ‘푸틴 없는 러시아’를 외치는 대규모 행진이 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도 들릴 정도로 지척인 곳에서다.

 시위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시작됐다. 모스크바 시내의 키타이고로드 광장 주변에 수천 명의 인파가 모여들었다. 오후 3시15분쯤부터 넴초프가 숨진 크렘린궁 옆 ‘볼쇼이 모스크보레츠키 모스트’ 방향으로 행진했다.

 이들은 넴초프의 사진이 담긴 피켓을 들었다. ‘나는 두렵지 않다’ ‘투쟁하라’는 플래카드도 보였다. 침묵 속에 걷던 이들은 크렘린궁에 다가가자 목소리를 높였다. “푸틴 없는 러시아” “잊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란 구호를 외쳤다.

 피살 현장엔 추모 꽃다발과 초로 가득했다. 미하일 카시야노프 전 총리가 그곳에서 “넴초프 살해자들을 반드시 찾아내 처벌할 것”이라며 “이들은 자유와 진실에 반대하는 세력”이라고 비판했다. 시위에 참여한 배우 라다 네그룰은 “넴초프 살해 배후는 명백히 크렘린”이라며 “푸틴 대통령이 살해를 직접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그에게 아첨하려는 측근들이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언론을 통해 증오심을 불러 일으킨 것 등이 이번 사건의 배경”이라고 주장했다.

 주최 측 추산으로 7만 명이 참가했다. 소비에트 이후 최대로 일컬어지는 2011년 12월 의회 선거 조작 의혹에 따른 반정부 시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영국 가디언은 그러나 “폭발적인 분노라기보단 조용한 경악 쪽”이라고 전했다. 시위대와 경찰 간 큰 충돌도 없었다.

 러시아의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도 6000여 명이 시위를 벌였다. 중부 도시 니즈니노보고로드, 시베리아 도시 노보시비르스크 등은 물론 영국 런던과 프랑스의 파리에서도 동조 집회가 열렸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을 만나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 이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케리 장관은 이 자리에서 넴초프 암살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도 촉구했다.

 러시아 내에서 일고 있는 암살 배후 논란을 의식한 것이다. 속속 드러나는 정황상 치밀한 조직 범죄인 게 분명해지고 있다. 한 사람이 넴초프에게 접근해 권총 6발을 발사한 뒤 뒤따라온 차량을 타고 도주했다. 이때 사용한 차량은 2011년 이미 등록이 말소된 상태였다. 현장을 잡던 CCTV엔 제설차량 한 대가 넴초프 옆으로 서서히 접근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이 차량이 넴초프의 모습을 가린 사이 총이 발사됐다. 제설 차량이 지나간 후에야 바닥에 쓰러진 시신이 보였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 차량의 운전자는 당시 넴초프와 동행했던 우크라이나 모델 출신의 여자친구가 자신에게 와 도움을 요청했을 때에야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았다고 진술했다.

 푸틴 대통령은 철저한 수사를 지시했다. 수사 당국은 검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사람에게 300만 루블(약 5400만원)을 보상하겠다고 제안했다. 야권이 제기하는 크렘린 연루설을 떨치려는 행보다. 친정부 성향의 인사들은 "푸틴 대통령의 지지도가 고공행진 중인데 별다른 실익도 없는 야권 지도자 살해를 시도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시위에 참가하려던 우크라이나 의회 의원 알렉산드르 곤차렌코가 모스크바 시내에서 체포됐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지난해 5월 우크라이나 남부 도시 오데사의 한 노조 건물 방화 사건의 피의자로다. 당시 친러시아 인사 40여 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런던=고정애 특파원

사진설명
야권 지도자 보리스 넴초프를 추모하는 시위대가 러시아 국기를 들고 1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과 바실리 대성당 앞을 행진하고 있다. 넴초프는 지난달 27일 크렘린궁 인근에서 피살됐다. [모스크바 AP=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