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함」의 솔선수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깨끗하고 정직한 정부」의 실현, 무질서의 추방이 현정부가 이룩해보려는 최대 국정목표임은 국민 누구나 익히 아는 사실이다.
7일의 사회정화운동전국대회는 종전의 월례사정협의회에 이어 그러한 정부의 의지를 다시금 다짐하고 확인하기 위해서 열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비리와 폐습을 제거하고 국민의식의 개혁이란 목표를 갖고 시작된 사회정화운동은 제1단계로 기반조성, 제2단계로 심화·발전, 제3단계로 정착 비승이란 장기정책 방향으로 추진되어 왔다.
사회정화운동을 심화·발전시킨다는 제2단계의 한 고비에서 전국대회를 연시기 선택은 이운동을 전국규모로 확산시킬 만큼 기반조성이 이룩되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부정·부패라든지, 무질서등은 우리의 전통문화와 오랜 인습에 뿌리를 둔 것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퇴치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를 좀먹고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그러한 병원은 강력한 단속, 집중적인 투약이 있을 때는 슬그머니 고개를 숙이지만 조금이라도 허점이 보이거나 단속이 느슨해지면 어김없이 다시 활개를 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 동안 벌인 사회정화운동이 커둔 성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공직자사회도 그렇고 일반시민의 질서지키기 운동 등이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공무원들이 비위·부정을 저지르다 적발되기도 하고 최근 일어난 대형 금융사고처럼 저조적 부조리가 불신의 불씨가 되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따지고 보면 잡다한 사람이 사는 사회가 마냥 깨끗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부정·부패를 근절시키는 묘책이란 것도 있을 수 없다.
문제는 그와 같은 바람직스럽지 못한 행위를 최소화하는 방법인 것이다.
부정·부패의 추방이란 구호는 이미 귀가 따갑도록 들어왔다. 건국이래 모든 정권이 부정·부패의 일소를 공약하고 나름대로 실천을 해왔지만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결국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
그 이유는 복합적이며 잡다하다. 그러나 한마디로 위정자의 부정·부패를 뿌리 뽑겠다는 의지가 확고하지 못한 때문이었다.
『가다가 중지 곧 하면 아니감 만 못하리라』는 속담처럼 지난날의 부패추방운동은 성공은커녕 국민의 불신만 더욱 깊게 한 결과가 되고 말았다.
따라서 부정의식의 추방은 일시적인 운동이나 구호에서 그치면 도리어 역효과를 낳고 만다. 보다 오랜 시일을 두고 기복이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고위공직자를 비롯한 지도층 인사들의 솔선수범이 있어야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정부의 강력한 결의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국민의 호응이다. 공직자의 부정을 없애는 것만으로 사회가 명랑해지는 것은 아니다. 폭력·사기·권력층빙자·가짜·불량품등 국민생활을 침해하는 각종 사회악, 그리고 투기·호화사치·허례허식등 불안과 불신의 요인들도 계속 해소해 나가야 한다.
사람의 의식구조를 고친다는 일만큼 어려운 일은 없을 것이다. 가장 경계할 것은 성급하게 성과를 올리려거나 기대하는 일이다.
이미 세워진 기본적인 방향에 따라 주어진 과제를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는 것이다. 정의사회는 우리세대가 이룩해야할 과제다. 사회정화운동 전국대회에서의 다짐이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