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운전 고객정보가 새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리운전 고객정보가 줄줄 새고 있다고 12일 동아일보가 보도했다.

수도권의 주요 대리운전 회사들이 자사에 걸려오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상세히 기록해 컴퓨터에 저장해 이를 공유하거나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일부 대리운전 회사들은 싼 이용료를 제시해 전화를 유도한 뒤 개인 정보를 집중 수집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광고를 발송하거나 신규 업체에 판매하고 있다.

신문은 이어 모 대리운전 업체 대표의 발언을 인용 "'서울 전역 5000원' 등으로 광고한 뒤 손님들이 전화하면 '운행할 수 없다'고 말하고 걸려 온 전화번호를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대량 문자 발송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전했다.

개인 정보 수집만을 위해 일단 싼 가격으로 고객의 전화를 유도한 다음, 고객정보만 가로 채는 식이다.

또 최근 급증한 대리운전 회사들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대량 e메일 발송으로 광고방식을 바꿔, 이들 회사에 한 번이라도 전화를 건 고객의 이름, 연락처, 주소, 주요 행선지 등 상세한 정보는 물론 잘못 걸린 전화, 일반 문의 전화도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있다고 신문은 보고했다.

한국대리운전협회에 따르면 국내 5000여 개의 대리운전 회사 가운데 60%가량이 이렇게 모은 개인 정보를 취합해 공동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수집된 개인 정보로 인해 소비자가 피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

신문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고객의 집주소를 이용해 '블랙리스트'를 만들기도 한다.

상담원들은 블랙리스트에 오른 고객에게 전화가 오면 통화를 차단하거나 처음부터 "운전사가 없다"는 식으로 서비스를 거부하기도 한다.

서비스 항의 전화에 대한 전화 차단, 무보험 영세업자 자동 연결로 인한 피해 사례 등이 한국소비자보호원 게시판 등에 속속 접수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디지털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