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에 1만9930대 판매 … 외제차 신나는 질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소비 심리 위축으로 내수 전체가 구조적인 불황에 빠졌다지만 수입차 시장은 ‘무풍지대’다. 지난해 연간 판매량 20만대에 육박했던 수입차 시장은 올해도 두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22만대 규모까지 커질 전망이다. 가격 할인, 할부 금리 인하 등 각종 인센티브가 연말에 모두 종료돼 통상 ‘비수기’로 일컬어지는 1월에도 월간 최다 판매량을 갈아치울 정도다.

 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월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가 1만9930대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지난해 1월보다는 34.2%, 12월보다는 16.4% 늘어난 수치다. 종전 최다 판매량은 지난해 7월에 기록한 1만8112대였다.

 수입차의 내수 점유율도 15% 선을 넘었다. 본지가 수입차 등록대수에 국내 완성차 메이커 5사의 1월 월간 판매량(11만1620대)을 합한 결과, 수입차의 시장 점유율은 15.2%를 기록했다. 2014년 연간 점유율(13.9%)보다 1.3%포인트 높은 수치다. 윤대성 KAIDA 전무는 “1월부터 역대 최다 판매 등록대수를 기록한 건 당초 기대를 뛰어넘는 수준”이라면서 “올해엔 역대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이 2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국내 완성차 메이커들은 내수 방어에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KARI) 조사 결과, 올해 수입차 시장은 전년 대비 14.6% 성장한 22만5000대까지 커질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KARI는 현대자동차 산하 연구기관이다. 현대차마저도 올해 내수 환경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 수치로도 국내 완성차 메이커의 1월 점유율은 부진하게 나타났다. 현대·기아차는 현대차가 38.3%, 기아차는 28%를 기록하면서 지난달에도 시장 점유율 70% 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한국GM도 9%에 그치면서 여전히 두 자릿수 점유율 진입에 실패했다. 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5사가 연말 실적 방어를 위해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실시한 후 1월에 ‘숨고르기’에 들어간 여파”라면서 “현대차가 투싼과 아반떼 풀체인지 모델을 내놓는 올 2분기부터 본격적인 시장 점유율 쟁탈이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휘발유(가솔린) 가격이 1리터(L) 당 1400원 수준까지 하락하면서 수입차 시장에서도 판도 변화가 생겨났다. 지난 12월 시장 점유율 4위에 그쳤던 메르세데스-벤츠(4367대)가 올 1월 수입차 브랜드 최초로 4000대 이상을 판매한 반면, 2014년 연간 1위를 차지했던 BMW는 3008대를 파는데 그치며 1위 자리를 벤츠에 내줬다. BMW는 디젤 비중이 88%에 달할 정도로 디젤 차량 판매에 집중한 반면, 메르세데스-벤츠는 가솔린 차량 비중이 44%로 디젤 차량(56%)과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한 외국계 자동차 메이커 임원은 “지난 1년간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차량 유지비 문제로 디젤차 구입을 고민했던 소비자들이 다시 가솔린 차량을 찾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