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IS의 야만적 테러, 한국인도 표적 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만행이 극도의 야만성을 드러내고 있다. 일본인 2명을 잇따라 참수한 데 이어 요르단 공군 조종사를 산 채로 불태워 살해했다. 문제는 한국인도 이처럼 끔찍한 IS의 테러 표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일본인 2명의 참수 사실이 확인됐을 때마다 규탄 성명을 냈다. 또 지금까지 이라크 난민 등에 120만 달러를 지원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할 일을 한 것이지만, IS가 이를 빌미로 한국인을 납치할 소지를 배제하기 힘들다.

 특히 IS의 근거지인 이라크엔 1000명이 넘는 한국인이 머무르고 있다. 오일특수를 타고 진출한 국내 건설업체 근로자들이다. 이들 업체는 IS 세력권 인근 지역까지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우리 근로자들이 언제 테러를 당할지 모를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외교부는 건설업체들을 수시로 접촉하며 안전대책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다. 대통령이나 총리가 직접 나서 국민들에게 위험성을 알리고, 범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라크와 시리아에 대한 여행금지 기한(7월 31일)을 연장하고, 여행객에게 방문국 안전정보를 전송해 주는 ‘동행제도’ 같은 보호책을 확대해야 한다. 또 종교계를 설득해 선교사 파견과 성지 여행을 자제시키고 턱없이 부족한 재외 국민 보호 인력도 늘려야 한다. 2009년 예멘, 2014년 이집트에서 성지여행을 하던 한국인 7명이 이슬람 과격단체의 공격으로 숨진 바 있지 않은가.

  국민들도 해외에서 자신의 안전은 1차적으로 자신이 지켜야 한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재외 국민 보호는 정부의 책임이지만, 여행금지 법규를 위반하고 위험 국가에 제 발로 들어간 국민까지 지켜주긴 어렵다.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샘물교회 신도 23명이 탈레반에 납치돼 2명이 살해된 비극은 정부의 ‘여행 자제’ 권고를 무릅쓰고 들어간 탓이 컸다.

 해외 여행객 1600만 명, 재외동포 700만 명 시대다. 정부는 이들의 안전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하고, 여행객 스스로도 자신을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