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편도선 역할…불필요한 줄 알았던 부위, 이렇게 썼더니 '아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사랑니 편도선 역할’. [사진 중앙포토]

사랑니·편도선 역할이 공개돼 화제다. 사랑니·편도선 역할이 특별히 알려지지 않아,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아 보이지만 사실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중요한 장기임이 밝혀졌다.

실제 사랑니는 예쁜 이름과는 다르게 끔찍한 통증을 유발시켜 밤잠을 설치게 만든다. 편도선도 마찬가지다. 통증과 고열을 동반하는 편도선염이 심한 경우에는 제거가 불가피하다. 마치 없어도 될 것 같은 신체부위다.

사랑니는 사랑을 못 받는 대표적인 신체부위다. 사랑니는 보통 불필요한 치아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지금과는 달랐다. 조리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질긴 음식을 주로 먹어야 했다. 질긴 음식은 오랫동안 씹어야 하는 만큼 치아 개수가 많을수록 유리했다.

점차 음식이 부드러워지면서 사랑니의 씹는 기능이 약해졌다. 또 사람의 얼굴과 턱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다른 치아처럼 똑바로 자라지 않는 경우도 흔해졌다. 그래서 사랑니에 통증이 발생했을 때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사랑니가 비뚤게 자라면 뼛속에 물주머니를 만들어 턱뼈를 녹이거나 앞 치아를 망가뜨릴 위험이 있다.

하지만 사랑니도 똑바로 잘 자라기만 한다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어금니가 손상될 경우 자가 치아 이식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금니를 발치한 자리에 사랑니를 옮겨 심을 수 있다. 또 사랑니를 특수처리해 부족한 치조골을 대신하기도 한다.

굳이 없어도 된다고 생각되는 또 다른 신체부위로는 편도선이다. 편도선은 면역세포의 하나인 림프세포가 모여서 만들어진 구조로 림프조직의 일종이다. 림프조직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곳에 자리해 균이 번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목에 있는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온 세균이 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보초병 역할을 수행한다.

전문가들은 “편도선이 면역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편도선을 절제하면 면역기능이 떨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한다”면서 “편도선이 면역기능을 하는 것은 영아기(만 3세까지) 때이며 이후 성장한 뒤에는 면역기능의 역할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고열을 동반한 편도선염이 1년에 3~4회 이상 이어진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편도선 전반에 대한 정밀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사랑니 편도선 역할 소식을 들은 네티즌들은 “사랑니 편도선 역할, 필요도 없는 걸 만들었겠어” “사랑니 편도선 역할, 진화론에 의해 없어질까?” “사랑니 편도선 역할, 편도선 두 쪽을 다 떼내도 된다니” “사랑니 편도선 역할, 사랑니 이름은 예쁜데 영~” “사랑니 편도선 역할, 내 몸의 한 부위니까 아끼자” “사랑니 편도선 역할, 지켜주고 보호하자”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사랑니 편도선 역할’.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