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서 국보급 청동유물 19점 출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고조선이나 삼한시대 초기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세형동검과 잔줄무늬거울 등 국보급 청동유물이 충북 충주에서 무더기로 출토됐다. 중원문화재연구원(원장 강경숙)은 지난해 8월부터 진행해온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이들 유물이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초기 철기시대(기원전 2세기~1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은 돌무지나무널무덤(적석목곽분) 1기와 나무널무덤(목관묘) 2기 등 총 3기다. 이 중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 청동유물이 모두 7종류 19점 출토됐다. 세형동검 7점을 비롯해 청동 잔줄무늬거울·나무 자루를 끼우는 청동 투겁창·청동 도끼·청동 새기개(끌)와 검은 간토기(黑陶) 등이다.

 1971년 전남 화순군 대곡리에서도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방울 등이 발견돼 국보로 지정된 바 있다. 문화재청 권택장 연구사는 “이번에 세형동검 7자루가 일괄적으로 발굴됐다. 국내에서 청동유물이 이처럼 다량 발굴된 적이 없다. 유물의 종류나 수로 볼 때 최대 규모다”라고 설명했다.

 무덤의 주인은 초기 철기시대 수장급 지도자로 보인다. 당시 북쪽은 고조선, 남쪽은 삼한시대가 시작되던 시기다. 권 연구사는 “세형동검을 청동기 무기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게 아니다. 당시 지도자의 권위를 상징하던 도구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청동유물은 대개 1~2점씩 출토된다. 이렇게 한 무덤에서 다량으로 나오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주로 지역개발 과정에서 발견돼 훼손된 상태로 긴급 수습될 때가 많다. 이번처럼 무덤 위에서부터 바닥까지 세밀하게 내려가며 학술적 조사가 병행된 적은 별로 없다. 이들 유물에 대한 보존처리와 정식 발굴조사보고서가 나오려면 약 2년이 소요된다. 국보 등 문화재지정 여부는 그 후에 결정된다. 문화재청은 20일 오후 2시 일반인에게도 발굴현장을 공개한다.

  백성호 기자

사진설명 충북 충주에서 출토된 청동유물들. 세형동검을 비롯해 청동 투겁창, 청동 도끼 등이다. [사진 문화재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