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두 완전 마비되는 주말이 고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가경제에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운송거부 사태가 언제쯤 풀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화물연대 측은 정부가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주장한다.

정부가 기존 방침을 바꾸지 않는 한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운송하역노조의 한 간부는 "정부의 개선 의지가 운송거부를 푸는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15일께면 부두가 컨테이너로 꽉 찰 것으로 보고 그때까지 집단행동을 벌이는 '벼랑끝 전술'을 사용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겠다는 전략이다.

정부가 지도부 검거 등 강수를 사용할 경우 다음주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회원들 사이에 강성 기류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오후 운송거부 철회 여부를 묻는 투표에서 찬성(9백77표)보다 반대(1천1백4표)가 많이 나온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실제 상당수 회원은 "일을 하나, 하지 않으나 돈이 되지 않기는 마찬가지"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포항 등 일부 지부에서 막판 협상을 통해 운송료 인상안에 합의한 것도 회원들에게 자신감을 주고 있다. "갈 때까지 가보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라는 것이다.

운송하역노조 김종인 위원장도 13일 기자회견에서 정부의 대안 제시를 강하게 촉구했다. 통행료.경유값 인하 등의 문제가 해결돼야 회원들을 설득할 수 있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른 전망도 나온다. 군 장비 투입 등으로 부두 기능이 일정 부분 회복되고 경찰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지도부 검거에 나설 경우를 우려해 화물연대 측이 자진해 숨 고르기에 들어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산업현장의 피해가 급증하면서 비판 여론이 거세지는 것도 부담이다. 적절한 시기를 택해 '일보 후퇴'라는 결정을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언제든지 대화하겠다"고 문을 열어 둔 점도 이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5일째 운송거부를 하고 있는 화물연대가 별 소득 없이 발을 빼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 정부와의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운송료 인상 문제가 여전히 남게 돼 화물연대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려면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부산=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