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장이 안이하면 굉면적 전개에 그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문장의 도는 근본적으로 발단의 예술』이라고한다.서두가 잘풀리면 그 문장은 잘풀려나가지만 그렇지 않을경우는 문장이 잘전개되지 않는다.
그만큼 문장의 첫시작은 중요한것이다. 그러나 첫줄을 잘 잡는다는것은 생각처럼 쉬운일이아니다.글을 써본사람이면 익히 알고있는 터이며 더구나 산문이 아닌 시에있어서의 첫줄을 얻기란여간 힘들고 어러운일이아닐것이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영감에 의하여 쓴다고도 했고 초현실 주의자들은 소위자동기술법에 따라 의식의 흐름을 좇아 쓰기도 했지만 시가 영감이나 의식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면 달리 어떤표현법을 가질만한데 사실 시에는 어떤 공식이없다.여기에 시의 묘미와영원성이 있는지도 모를일이다。
시조는 삼장안에 기·승·전·결의 일반적 구성 형식을 지니고 있어비교적 초심자들이 접근하기 쉬운시형식이라본다.그러나 너무 펑면적시상의 전개나 일률적인표현방법으로 더 발전을못하는 흠들을 지니고 있는듯하다.
이 역시 첫줄(초장)의며 올림에 기인한것으르 첫줄이 너무 안이하거나 아니면 초장의 의미가 종장까지 연결되는평면적 전개에 그치고 말기 때문이다.
그럼 첫 줄을 어떻게 쓸것인가? 에대한 묘방은 없다.그러나 모두를떠 올리는 한마디(한줄)이어야 할 것이며 전체적 추진력을 가져야 할것 이다.
창작의 실제적 입장에서 이번 작품들은 전체를 감안하여 초장을 중심으로 뽑아 보았고, 결국 초자이 잘 잡힌시조가 전체적으로 짜인 작품을 이루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새벽버스를 타고』는따뜻한 인간성을 바탕으로 감상을 뛰어넘어 서민생활의 애환을 그려본시조로 무리없는 시상의전개를 보이고있으며 『피리?』는 벌레와 종,그리고 피리의 동질적(소리)소재를 통하여 각자의 고독과 한을 노래한 작품으로 통일성을 갖추고있다.
그리고『파종기』는 계절의 감각에 맞는 작품으로<봄을피워 낸다>와 흙과 넋의 연결등 풍부한상상력을 보이고 있으며『바람』또한 바람을 알몸으로 형상화한솜씨가 돋보인작품이라 하겠다.『민들레』는실족의 인생적 의미를 민들레에 이입시킨 작품으로<언제나 띨어지는 곳은 하늘 아닌 언덕이다>와 같은 좋은 결구를얻고 었으며『영강야화』는 서울의 야경을 그리면서 작자의 심정을 잘 굴절시키고 있다.

<김제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