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오봉댐 재개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강릉시 남대천 상류 왕산면에 있는 오봉댐을 이전 확장하는 내용의 재개발을 추진하는 사실이 알려지자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마찰을 빚고 있다.

12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오봉댐은 건설교통부의 댐건설 장기 계획(2001∼2011년)에 포함돼 최근 전문 조사기관에 재개발 타당성 조사가 의뢰됐다.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현재 강릉 지역의 생활용수(하루 평균 6만t)와 농업용수 공급용으로 건립된 오봉댐이 홍수 조절 능력이 없는 데다 장기적으로 강릉·동해·삼척 등 영동 남부 지역에 예상되는 생활 및 공업용수난을 해결하기 위해 댐건설 장기 계획에 포함시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자원공사는 기존 높이 50m, 길이 2백69m, 저수량(상시 만수위 기준) 1천4백50만t의 오봉댐 아래에 높이 71m, 길이 5백10m, 저수량(계획 홍수위) 4천5백만t 규모로 댐을 확장하는 내용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마친 상태다.

한국 수자원공사는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토대로 환경영향 평가와 이주 대책·댐 재개발의 적정성 등에 관한 본 타당성 조사를 오는 12월까지 마칠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오봉댐을 댐건설 장기 계획에 포함시키고 예비 타당성 및 본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해당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에 대해 사업 설명회 등을 전혀 개최하지 않아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오봉댐이 재개발되면 수몰 지역이 현재의 26만평에서 58만평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나는 등 주민들의 생존권이 박탈당할 위기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왕산면 지역 주민들은 “오봉댐이 재개발될 경우 댐 상류지역의 도마 1·2리와 목계리 지역 3백95세대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데 사업설명회도 없이 일방적으로 댐확장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의 무시하는 처사”라며 “한국수자원공사는 즉각 정확한 재개발 계획을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강릉시도 12일 “상류 지역 주민들의 반발 외에도 도심 한가운데를 관통해 흐르는 강릉 남대천 상류 지역에 댐이 확대 건설돼 자칫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도심 전체가 물에 잠기는 위험 부담이 있다 ”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 댐건설처 관계자는 “지난해 태풍 루사때 오봉댐이 범람 위기에 처한만큼 홍수조절 능력을 높이고 2011년 하루 5만9천t, 2021년 하루 7만3천t의 생활및 공업용수 부족난이 예상되는 영동 남부 지역의 안정적인 수원 확보를 위해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며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강릉시와 주민·환경단체 등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강릉=홍창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