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中 견제 위해 방러 가능성 높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06호 06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내년 5월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초청했다. 19일(현지시간) AP통신 등은 “푸틴 대통령이 제2차 세계대전 승리 70주년 기념식(5월 9일)에 참석해 달라고 김정은 제1위원장에게 초청장을 보냈다”며 “북한뿐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과 제2차 세계대전 관련국, 한국을 포함한 한반도 주변국에도 보냈다”고 전했다.

푸틴, 남북 정상에 내년 5월 방문 초청장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고립돼 있는 북한의 최고지도자 김정은의 방러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북한 입장에선 러시아의 초청이 입지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제1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하게 되면 2011년 최고 권력자로 등장한 이후 첫 외국 방문이 된다. 김진욱 통일연구원장은 “김 제1위원장으로서는 자신의 방러가 중국에 대한 압박뿐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비토(거부권)를 갖고 있는 러시아와의 협력 강화에 필요하다고 판단할 것”이라며 “내년 5월까지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그의 방러 가능성은 크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북·중 간 냉랭한 관계는 김 제1위원장의 러시아행을 부추기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등장한 이후 중국은 북한에 대해 ‘정상국가 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북한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대한 ‘북한 길들이기’라는 측면이 크다. 이처럼 중국과 불편한 상황에서 김 제1위원장에게 러시아의 초청은 국제사회를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場)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북한 인권결의안의 유엔 총회 통과 등으로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압박은 한층 강화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라도 김 제1위원장이 직접 국제 외교무대에 나서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과 해방 이후 첫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이미지를 개선한 적이 있다. 당시 ‘은둔의 지도자’로 불리던 김정일 위원장은 호방한 성격과 언변으로 국제사회를 놀라게 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모스크바를 방문할 경우 세계 언론의 초점이 그에게 쏠릴 것은 분명하다. 이 때문에 유럽에서 교육을 받은 그가 이를 적극 활용하려 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중 정상회담에 앞서 러시아를 방문하는 것이 부담스럽지만 김 제1위원장의 방러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김 제1위원장이 방러 결정을 위한 시간이 아직 있는 만큼 방러 전에 북·중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려 노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또 “북·중 정상회담이 그의 방러 전에 이뤄진다면 북한으로서는 외교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 제1위원장의 방러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그동안 역대 북한 최고지도자는 각국 정상들을 대거 초청하는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김정일 위원장은 1995년과 2005년 러시아 전승기념 행사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무엇보다 큰 부담은 중국이다. 현재로선 시진핑 주석이 북한의 틈새외교 전략에 말려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럴 경우 자칫 방러로 인해 중국과의 관계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러시아 측의 초청을 받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참석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내년 일정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