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비상…눈 뻑뻑하고 모래알 구르는 느낌 난다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안구건조증 비상이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샘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안과질환인데 건조한 겨울철에 나타나기 쉽다. 건조한 날씨와 더불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이 눈물 분비를 방해하기도 한다. 독서, 컴퓨터 작업, TV 시청 등 장기간의 응시로 인해 눈 깜빡임이 줄어들면서 많이 생기기도 한다.

안구건조증에 걸리면 눈이 뻑뻑하고 모래알이 구르는 느낌, 이물감 등을 느낀다. 눈이 쓰라리거나 가렵다고 느낄 수 있으며 눈꺼풀이 무거운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오후가 될수록 더 심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눈꺼풀의 문제 때문에 아침에 눈을 뜨기가 더 힘들다고 느낄 수도 있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려면 충분한 수분의 흡수를 위해 하루 8~10컵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또 책을 읽거나 TV를 볼 때 각막을 덮고 있는 눈물층이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눈을 자주 깜박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에 둠으로써 눈꺼풀 틈새를 작게 해주어 눈의 노출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책을 읽을 때는 1시간에 10분 정도는 쉬어주고 가벼운 눈 운동을 해 줘야 한다.

겨울철엔 실내 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춰주는 것이 눈물의 증발 감소를 돕는다. 자동차 히터를 틀었을 때는 바람이 나오는 위치에 직접 눈을 노출시켜선 안 된다.

안구건조증은 한 번 발발하면 완치는 어렵다. 때문에 증상을 호전시키고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 중 본인의 눈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된다.

안구건조증의 가장 주된 치료법은 인공으로 만든 눈물(인공누액)을 점안해 부족한 눈물을 보충하는 것이다. 인공누액은 기본적인 눈물의 3가지 성분인 지방층, 수성층, 점액층이 잘 유지되도록 하는 점안액이다. 그러나 인공누액은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약이 아니고 단지 부족한 눈물을 임시로 보충해주는 역할만을 한다. 따라서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마음대로 중단해서는 안 되며 의사 지시에 따라야 한다.

온라인 중앙일보
‘안구건조증 비상’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