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건 고소·고발 피소돼 검찰과 악연 '진보' 서울시장·교육감 검찰 찾은 이유

중앙일보

입력

  “검찰에서 검사장이 호출하면 마음이 내키지 않겠죠? 하지만 오늘은 한걸음에 달려왔습니다.”

17일 서울 서초동 중앙지검 2층 대강당. 단상에 오른 박원순 시장이 이 같은 농담을 건네자 200여명이 넘는 참석자들은 웃음을 터뜨렸다. 이어 단상에 나온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제 한두가지 정책을 놓고는 꽤 논란이 있다. 하지만 이번 건은 다르다”고 말했다. 수십건의 고소ㆍ고발 사건에 대한 수사로 검찰과 껄끄러운 관계에 있다고 할만한 ‘진보’ 서울시장과 교육감이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나타난 이유는 뭘까.

이날 서울중앙지검과 서울시,서울시 교육청은 10개 시민단체와 ‘아동ㆍ청소년 폭력 및 범죄예방을 위한 시민네트워크’ 협약식 및 발대식을 열었다. 시민네트워크는 아동ㆍ청소년 폭력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지만 정부,학교,수사기관 등의 개별 대응만으로 이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만들어졌다.

지난해 정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52.8%가 학교 폭력을 걱정하는 등 우려가 크지만 1만9189명의 청소년이 보호 관찰을 받는 등 실태는 나아지지 않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등은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고 시민사회가 협력하는 네트워크 모델을 도입했다.

네트워크 참여단체들은 각 단체별로 특화돼 있는 상담,순찰,멘토링,재정지원 기능을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 위기청소년과 ‘멘토ㆍ멘티 결연’을 활성화하고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예술치료프로그램 참여도 확대할 예정이다. 김수남 서울중앙지검장은 “지역사회의 협력으로 범시민 안전망을 만들어 아동청소년 문제를 해결하자”고 말했다.

박민제 기자 letme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