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5% 토지 소유 비율 20년전보다 17.5%p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행정자치부의 이번 전국 토지소유 현황 조사 결과는 국내의 토지 보유 편중 현상이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개인 토지 소유 편중 현황을 전수조사한 것은 1986년 토지공개념 도입에 앞서 한 차례 조사한 이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향후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 토지소유 편중 현상 극심=조사 결과 최고 땅부자 100명이 보유한 토지 면적은 서울시 면적(605㎢)의 60%, 전체 사유지(5만6661㎢)의 0.7%를 차지했다. 총인구와 보유면적 대비 상위 1%가 차지한 토지면적도 전체 사유지의 51.5%와 31%에 각각 달했다.

총인구 대비 상위 5%의 토지 소유 비율은 7월 7일 현재 82.7%다. 정부가 토지공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처음으로 개인토지소유 편중비율을 조사했던 1986년 당시의 65.2%보다 17.5%포인트나 급등한 것으로 분석됐다.

행자부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은 토지공개념 정책이 토지초과이득세법(토초세)에 대한 위헌결정 등으로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한 데다 최근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업도시 등 개발정책 등의 영향으로 전국이 땅 투기장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토지개발이익이 땅주인들에게 대부분 돌아가는 현행 제도도 토지 선호를 부추겨 온 주요 이유로 꼽힌다.

◆ 사유지 보유 비율, 지나치게 높아=전체 국토 중 사유지 비율이 너무 높은 것도 토지 소유 구조의 왜곡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2004년 12월 현재 우리나라의 국토 면적은 9만9642㎢. 이 중 국유지.도유지.군유지 등 국가나 지방 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토지 비율은 약 30%다. 나머지 70%는 개인 또는 법인이 소유하고 있다. 이들 사유지 대부분이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다른 나라들의 경우 국공유지 비율은 싱가포르 81%, 이스라엘 86%, 대만 69%, 미국 50%, 스웨덴 40%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유지의 대부분이 임야와 도로.학교 등 공공시설 용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공공부문이 소유하고 있는 주거용.상업용.공업용 등의 도시용지 보유 비율은 0.1%에 불과한 실정이다.

사유지 비율이 높다는 것은 토지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정부가 이를 조율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