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에 총리지명권 이양 건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이 10일 "지역구도를 해소할 선거제도에 합의하면 야당에 총리 지명권과 내각제 수준의 권력을 이양하는 방안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의장은 이날 취임 100일을 맞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7일 언론사 편집국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우리 정치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한다면 내각제 수준으로 대통령의 권한을 이양할 용의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문 의장의 제안은 이를 좀 더 구체화한 것이다.

문 의장은 이어 "지역주의 극복을 위한 제3기 정치개혁협의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구체적인 선거제도 개혁안에 대해선 "중.대선거구제만 되면 틀림없이 지역주의가 상당히 해소된다"며 "권역별 혹은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로도 어느 정도 해결될 길이 있다"고 주장했다.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는 예컨대 각 당이 호남권에 비례대표 후보자 명단을 서열을 매겨 제출하고 득표율 비례에 따라 그 권역의 국회의원을 나눠갖는 식이다. 독일식은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을 같은 수로 하는 방안이다.

문 의장은 또 광복 60주년을 맞아 대사면을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문 의장은 "국민 대통합의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서민생계형 전과와 가벼운 경제사범을 사면 대상에 포함하자"고 제안했다. 불법 대선자금 관련 정치인의 포함 여부에 대해서는 "법의 형평에서 볼 때 예외가 있어선 안 된다"며 "그러나 그것 때문에 대사면을 건의하는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한편 문 의장의 제안에 대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지금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와 전혀 관계 없는 얘기를 계속해야 하느냐"며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전여옥 대변인이 전했다. 전 대변인은 "내각제적 권력 이양은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하며 한나라당은 응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민주당과 민노당도 마찬가지 반응이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