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외교·안보팀 업무수행능력은 54점"

중앙일보

입력

 박근혜 정부의 외교ㆍ안보팀 업무수행능력에 대해 54점이라는 박한 평가가 나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이 외교ㆍ국방ㆍ통일부와 국회를 출입하는 기자 111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월 29일부터 3일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정부의 외교ㆍ안보ㆍ통일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는 평가가 52.3%(58명)를 차지한 반면,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22.5%(25명)에 그쳤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25.2%(28명)였다.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이유는 ‘한중관계 내실화 및 신뢰증진’이 28%로 가장 많았다.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의 경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남북관계 정상화 미흡’(76.3%) 등 남북관계 악화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28.8%(32명), 긍정적인 평가 12.6%(14명)였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58.6%(65명)였다.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이유는 ‘한ㆍ미ㆍ중 관계 안정’, ‘한ㆍ일 위안부 문제 입장 고수’ 등이 있었다. 반면, ‘존재감ㆍ성과 없음’, ‘상명하복형 YES맨’ 등 리더십 미흡에 대한 지적도 많았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40.5%(45명)의 기자들이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6.3%(7명), 보통이라는 응답은 53.2%(59명)였다. 특히 ‘연이은 군내 사고와 대처 미흡’, ‘전작권 전환 이해 구하는 과정 부족’ 등 현안에 부실하게 대처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경우 부정적인 평가가 56.8%(63명)로 가장 높았고,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6.3%(7명), 보통이라는 응답은 36.9%(41명)였다. 부정적인 이유는 ‘대북정보 및 대응 미흡’, ‘존재감 및 부서 장악력 부족’, ‘남북관계 악화’ 등을 꼽았다.

정부가 외교ㆍ안보ㆍ통일 분야에서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통일부 역할 리포지셔닝’, ‘대북라인 인사 교체’, ‘경험 있는 당국자 부족 등 전문성 부족 해결’ 등을 주문하는 의견이 많았다. 이상일 의원은 “정부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통일대박론 등 많은 외교ㆍ안보 정책들을 내놓았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장관들에 대한 평가도 그다지 좋지 않은 만큼 외교ㆍ안보팀은 정책의 적극적인 실천, 대국민 소통 강화 등의 활동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