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아파트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주택청약 통장 없이도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어 인기를 끌었던 조합아파트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조합원 자격 기준이 대폭 강화된 데다 사전 사업성 심사 등 절차가 까다로워지면서 업체들이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공급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와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수도권 일대에서 공급한 조합아파트는 20곳 1만24가구에 달했지만 올 들어 4월까지는 1개 사업장 1백12가구에 그쳤다. 연내 분양을 준비 중인 곳도 2~3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A건설의 경우 지난해만 해도 경기도 용인과 구리시 2곳에서 조합아파트를 공급했으나 올해 실적은 전무하다. 이 업체는 당초 조합아파트로 공급할 예정이었던 구리시 교문동(2백90가구), 용인시 상현동(3백90가구)아파트를 모두 일반 분양으로 전환, 5월 이후 공급할 예정이다.

올 초 파주시 금촌동에서 조합주택 5백가구를 공급할 계획이었던 B건설도 최근 일반분양으로 전환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동문건설 김시환 이사는 "땅을 모두 매입한 뒤에 분양할 수 있는 데다 조합원 자격도 해당 지역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해야 해 업체 측으로선 조합아파트의 메리트가 많이 줄어 사업착수를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그동안 조합장의 비리나 사업자의 부도 등으로 말썽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공급의 한 축을 맡았던 조합 주택을 앞으로는 찾아보기가 힘들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