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GP 단계적 철수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7일 열린 국회 국방위 'GP(최전방 소초) 총기사고 진상조사소위'에서 여야는 앞다퉈 정부에 군 장병 처우개선을 요구했다.

한나라당 박진 의원은 "GP 등 격오지 근무자에 대한 정기 심리상담과 특별수당 지급 등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 남북이 함께 비무장지대에서 GP를 단계적으로 철수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고조흥 의원은 "부대 인근의 성직자들을 인성교육에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열린우리당 박찬석, 한나라당 박세환 의원은 "GP 등 특수지 근무를 지원제로 바꾸자"고 입을 모았다.

국방부는 보고자료에서 "학교생활기록부나 부모의 평가 등 입대 전 신상자료를 군 부대와 공유해 입체적.과학적으로 장병을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영근 소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GP 근무 기간을 단축하고, 각종 특수지역 근무를 지원제로 전환해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는 데 여야가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한나라당, 윤 국방 해임건의안 제출=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총기난사 등 각종 군기사고를 이유로 윤광웅 국방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와 관련, 맹형규 정책위의장은 당 상임운영위에서 청와대의 윤 장관 사표 수리 유보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과 정부가 오기로 나라를 끌고가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정현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윤 장관이 노 대통령의 고교 선배임을 언급하며 "선배에 대한 예우인지, 총기난사 하루 전 골프를 친 의리 때문인지 모르겠다"며 "윤 장관은 해임 0순위"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열린우리당 오영식 원내대변인은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에 이 같은 일을 벌이는 야당의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반발했다. 반면 여당 핵심 관계자는 "여론이 나쁜데 해임건의안을 부결시키면 국민적 비난이 돌아올 것"이라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됐다"고 당혹해 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