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국감] 정우택 "시중은행 보신주의 행태…우량기업 대출로 수익 창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시중 은행들이 우량기업의 대출은 늘리고 비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은 줄이는 방식으로 수익을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정우택 정무위원장이 26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기업 중 신용등급 5~10등급의 비우량 기업의 은행 대출 비중은 2010년 49.3%였다가 매년 감소해 올 6월에는 42.3%까지 하락했다.

국내 시중은행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국민은행의 경우 2010년에는 비우량 기업에 19조원(31%)의 대출을 해줬지만 2014년엔 12조원(18%)에 그쳤다.

정부가 사실상 대주주로 있는 우리은행 역시 2010년 44조원(75%)에 육박했던 비우량기업 대출 규모가 2014년 들어 40조원(67%) 수준으로 떨어졌고, 신한은행이나 하나은행 역시 비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액을 줄인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기업 운용에 자금 압박을 받은 비우량 중소기업들은 지역은행이나 국책은행, 신용보증기금에 문을 두드리고 있는 실정이다.

신용보증기금의 비우량기업(7등급~15등급)에 대한 보증액수는 2011년 22조에서 2014년 27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했고 전체 기업 보증액 대비 비율도 2011년 58%에서 2014년 65%으로 훌쩍 뛰었다.

정 위원장은 "은행들이 보신주의로 일관할수록 경제회복은 더뎌질 수밖에 없다"라며 "은행들이 기업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자수익을 챙긴다는 생각보다 비우량 기업이라도 미래성을 보고 투자를 하여 수익을 창출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진우 기자 jw8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