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방학 중 보충수업은 희망자만 하게 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이번 여름방학 중에도 각 인문고에서는 전 학생을 대상으로 대부분의 과목에 걸쳐 보충학습을 강행하려 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의 지침에는 반드시 희망자에 한해 실시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인문고에서는 강제로 전 학생과 모든 과목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고3을 제외한 순수 희망 학생은 거의 없다. 그리고 방학 중에는 자신이 부족한 과목을 보충받고 싶음에도 학교 측은 모든 과목의 교사를 보충학습에 동원하려 한다. 이는 희망자들이 적을 경우 교사들의 강사료가 나오지 않으며, 한두 과목만 선택할 경우 보충수업료가 적어 강사 수당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욱 학생들이 하기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수준별.능력별로 반 편성이 돼야 함에도 평소 학기 중의 반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거부하려 든다. 적어도 방학 중에는 자신이 부진한 학과를 집중적으로 보충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함에도 학교 측의 일방적인 방침에 따라 무조건 따라가도록 하니 피해와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다.

심지어 학생들을 강제로 참여시키기 위해 말도 되지 않는 교과 진도를 나간다거나 다음 시험에 출제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한다.

학생들은 적어도 방학 중에는 개인 과외, 학원 수강, 교육방송 시청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음에도 학교 측의 강요로 억지로 수업하고 저녁이면 대부분이 다시 학원 수강을 한다.

그렇다면 사교육비 경감이 아니라 이중삼중으로 사교육비가 늘어나는 셈이다. 보충수업이 효율적이고 참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순수 희망자에게 희망 과목만 실시하면 된다고 본다.

우정렬 부산시 중구 보수동 1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