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유면적 넓게 잡아 분양가격 올려 받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아파트마다 공용면적이 각기 다르고 일부 아파트는 공유면적을 크게 잡아 공유면적을 포함해 평당 1백5만원으로 묶여있는 국민주택규모의 아파트(전용면적 25·7평 이하) 값마저 사실상 늘어나고 있다. <별표>
아파트는 지하실·엘리베이터·계단·복도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들 공동이용시설을 전체가구수로 나눈 공유면적이 있기 마련이나 현행법상 아파트분양면적에 대한 전용·공용면적 비율규제가 없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아파트의 공유면적은 위치가 좋은 곳은 대체로 넓고 그렇지 못한 곳은 비교적 좁아 국민주택규모의 아파트의 분양면적 중 전용면적비율이 위치에 따라 69∼80%에 이르기까지 다양해 동당 3백만∼5백만 원의 분양가격차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위치가 안 좋은 쌍룡의 대치아파트는 국민주택규모는 전용면적 25·276평에 분양면적이 31·485평으로 공유면적이 6·209평인 반면 위치가 좋은 한신공영 반포19차 아파트는 전용면적 25·018평에 분양면적이 36·222평으로 공유면적이 11·204평이나 된다.
이에 따라 실제 생활공간인 전용면적이 비슷한 국민주택규모인 이 두 아파트의 분양가격차이는 5백25만 원이나 된다.
같은 업체가 지은 아파트도 위치에 따라 전용면적비율이 각각 다르다.
삼호주택이 지은 가든맨션 3차 분양아파트의 국민주택규모 전용면적비율은 69·5%밖에 안 되는데 비해 방배동 아파트는 71·8%에 이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