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빌 유엔시설 자이툰이 지킨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라크에 주둔 중인 자이툰 부대가 9월부터 아르빌 유엔기구 청사 경계 업무를 할 방침이라고 복수의 미 군사 소식통이 15일 전했다. 소식통은 "유엔이 아르빌에 설립 중인 이라크국제원조기구(UNAMI) 청사가 9월께 완공될 예정"이라며 "한국이 유엔 및 미국 측에 청사 경계 방침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또한 자이툰 부대 내에는 이미 유엔 연락사무소가 설치돼 유엔 직원들이 근무 중이라고 또 다른 복수의 소식통이 밝혔다.

소식통들은 "유엔은 2월 자이툰 부대 내에 연락사무소(Liaison Office)를 설치해 직원 6명을 상주 근무시키고 있다"며 "이들은 자이툰 부대 주둔지에서 몇k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될 청사가 완공될 때까지 부대 내에서 근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윤광웅 국방부 장관은"(유엔기구 경비가)자이툰 부대의 평화.재건활동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 현재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며"추가 파병 없이 현 자이툰 부대 병력 중 30~40명만으로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13일 국회에서 밝혔다.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도 "(유엔기구)경계는 한국군이 맡되 유엔 인력 경호는 다른 병력을 이용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14일 국회에서 밝혔다.

올 들어 유엔은 UNAMI 청사 경계는 물론 근무 요원들의 경호까지 맡아달라고 한국에 여러 차례 요구해 왔다. 정부는 자이툰 부대의 파병 목적과 UNAMI의 주임무 및 경계 여건 등을 종합 검토한 끝에 수용 방침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UNAMI의 주임무가 이라크 평화 재건 활동이기 때문에 자이툰 부대의 주둔 임무(평화 유지 및 재건)와 같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요원 경호는 하지 않을 방침이다. 국군이 적대세력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고 현지에서 비우호적 감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유엔 기구 경비 방침은 국회에서 앞으로 자이툰 부대 파병 기한(현재는 올해 말) 연장 법안을 심의하게 될 때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다. 경계 업무가 파병 목적을 벗어나며, 국군이 테러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