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안 내도 '100%충족' 평가…입찰자격없자 제안서 변조"

중앙일보

입력

해군 통영함과 소해함의 불량 음파탐지기(소나)가 탑재된 것은 방위사업청 입찰과정에 해군 대령·중령과 업체 사이 검은 유착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사업팀장은 필수 평가항목에 자료를 내지 않았는 데도 '100% 충족'이라고 평가했다. 사업팀 선임장교는 요구성능에 맞는 장비를 갖고 있지도 않은 업체를 참여시키려 제안서를 무단 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결과 미국의 하켄코사는 해군의 차세대 수상구조함인 통영함과 기뢰 탐색·제거함인 소해함 3척에 1970년대 건조된 평택함과 유사한 성능의 불량 소나 4대를 670여억원에 독점 납품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문홍성)는 오모(57·전 해군 대령) 전 방위사업청 통합사업관리팀장과 사업팀 선임 장교이던 최모(46) 전 해군 중령을 각각 허위공문서작성, 공문서변조 및 행사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중 최 전 중령은 하켄코사 임원으로부터 수억 원을 받은 혐의가 포착된 상태다.

검찰에 따르면 2009년 11월 대당 41억원인 통영함 선체고정음탐기(HMS) 기종결정 평가 당시 미국 하켄코(Hackenco)사는 필수조건 및 선택조건 3개 항목에 대한 요구자료를 제출하지 못해 대상장비에서 탈락할 상황이었다. 이에 사업팀장인 오 전 대령이 부하 장교를 시켜 하켄코사 장비가 요구조건을 모두 충족한 것처럼 "필수·선택조건 100% 충족"이라고 꾸며 납품업체로 선정되게 했다는 것이다. 당시 배모 사업관리본부장은 평가결과가 허위로 작성된 사실을 모른 채 최종 결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최 전 중령은 2010년 5월 새로 건조하는 소해함 세 척에 탑재할 630억원대 가변심도음탐기(VDS) 구매사업을 담당했다. 가변심도음탐기는 예인체(크레인)에 소나를 연결해 해저로 내린 뒤 수중 기뢰를 탐지하는 소해함의 핵심 장비다. 방위사업체는 당초 입찰과정에서 '멀티빔(Multi Beam)' 소나 공급업체만 입찰에 참여하도록 결정했다. 그러자 최 전 중령은 '싱글빔(Single Beam)'소나를 취급하는 하켄코사를 입찰에 참여시키려고 송신출력·빔폭·탐색·식별능력 등의 핵심 성능을 빼고 부수적 성능만 넣는 방식으로 구매제안요청서를 무단 변조했다.

그는 그대로 입찰을 진행할 경우 많은 업체가 참여하게 돼 하켄코사가 최종 업체로 선정될 가능성이 낮아지자 하켄코사 소나 성능에 맞춰 제안서를 재차 변조했다. 당시 방위사업청 사업관리본부장 직무대리를 현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이 맡고 있었지만 황 총장은 최 전 중령이 제안서를 무단 변조한 사실을 모른 채 최종 결재를 했다고 한다.

검찰은 최 전 중령에게 수억 원을 뇌물로 건넨 혐의로 하켄코사의 한국 지사 임원 김모(39)씨를 구속했다. 또 통영함 탑재된 좌초 선박 예인용 유압권양기 납품업체인 W사 김모 대표도 뇌물공여 혐의로 함께 구속했다. 검찰은 방위사업청과 납품업체간 유착비리에 또 다른 해군 예비역, 군피아(군대+마피아)가 연루됐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정효식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