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방의학 아프리카 진출…「가봉」대통령과의 인연으로 의사·진료기 등 보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의 한방의학이 아프리카에 진출케 됐다. 동양의학의 첫번 수출지는 가봉공화국. 이미 지난 연말 기계화된 한방진단기가 외무부에 의해 보내졌고 금년 봄에는 2명의 한의사가 파견된다.
한의사는 현지에서 대통령 일가의 한방주치의 겸 일반진료를 맡게 되며 각종한방 기기를 운영하게된다.
우리 나라의 동양의학이 가봉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지난75년. 당시「봉고」대통령을 수행했던 조카딸이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이문재 박사(49)로부터 간 및 자궁암이라는 진단을 받고 부터다. 이 조카딸은 몸이 좋지 않아 프랑스에서 1개월간 진찰을 받았으나 이상을 발견치 못했는데 국내에서 암이라고 진단된 후 세포배양을 통해 암이 확진 됐다.
당시 환자는 일정관계로「봉고」대통령과 함께 귀국했지만 81년3월「봉고」대통령의 친형이며 대통령특별고문인「온타라·엠바에」씨가 간경화증 치료를 위해 내한함으로써 인연을 맺게 됐다.
체한 1개월 동안 이 박사(당시 병원장)의 치료를 받은「엠바에」씨는 1개월 분의 약을 주문하면서 동양의학의 가봉 진출을 권고했다.
이것이 결실이 되어 우선 진단기가 가봉으로 보내진 것이다.
이 전 한방병원장이 78년 발명특허를 얻은 이 생체기능진단기는 이진 및 이침기, 자동침 자극기, 표피온도 및 전기저항 측정기, 경락·경혈탐지기, 검측기 등이 합쳐진 전자장비.
이 박사는 국내에서도 이 장치를 이용하면 권투선수 등 스포츠맨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고 체력관리, 기능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88년 올림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아프리카는 아직 생약제에 손을 대고 있지 않아 한국의 동양의학이 진출할 때 우선적으로 생약제제를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주위국가에도 한방을 보급할 수 있다고 이 박사는 보고 있다. 그 예로 지난80년10월 나이지리아의 대통령 특별고문「추바·오카디보」씨(41)가 위불전증 치료를 위해 내한했었던 점을 들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